박능후 “2단계 상향 없이 유행 반전시켜야…수능도 고려”

입력 2020-11-17 12:10 수정 2020-11-17 13:04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17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격상을 발표하며 “경제와 방역의 균형을 위해 2단계 상향 없이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추세를 반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번 1.5단계 상향 조정의 목표는 수도권과 강원도의 지역사회 유행을 차단하고 현재 추세를 반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박 1차장은 특히 “서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2단계 상향 없이 (확산세 흐름을) 반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또 2주 뒤로 예정된 수능에 대비해 안전한 시험 환경을 만들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설명했다.

중대본은 이날 회의에서 서울·경기의 거리두기 단계를 19일 0시부터 12월 3일 0시까지 2주간 1.5단계로 격상하기로 했다.

인천은 23일 0시부터 1.5단계로 상향 조정하되 강화군과 옹진군의 경우 1단계 조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종교활동 등에 대해서는 일부 방역 조치를 완화해 시행토록 했다.

강원도의 경우 영서 지역에 확진자가 집중된 만큼 전체 권역의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하지 않고 도에서 자체적으로 시·군·구를 선정해 상향 조정하도록 조치했다.

방역 당국은 거리두기 효과가 나타나는 2주간 일단 1.5단계를 시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이후 유행 상황 변동에 따라 1.5단계를 연장하거나 격상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박 1차장은 “(수도권과 강원 일부 지역) 이외 지자체에서도 코로나19 유행의 위험도에 따라 자체적으로 거리두기 상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서 “현재 광주광역시 등에서 이런 검토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1.5단계와 2단계는 큰 차이가 있다. 1.5단계는 대부분의 영업장이나 사업장이 영업을 계속하면서 단위면적당 출입할 수 있는 이용객 수를 제한하는 정도”라며 “가능한 한 1.5단계에서 더 이상의 확산을 막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것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격상시키는 근본 취지”라고 말했다.

박 1차장은 또 “생활과 방역이 그리고 경제와 방역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그리고 경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방역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2단계로 바로 격상시키지 않고 1.5단계로 하고 국민과 함께 정부가 힘을 합쳐 나가겠다는 취지를 이해해주기 바란다”고 전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