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쳐야 산다”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 첫 걸음

입력 2020-11-17 11:41
충북도와 대전시, 세종시가 공동 추진하는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 노선도. 충북도 제공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묶어 초 광역화하자는 통합 논의 움직임이 영·호남에 이어 충청으로 확산되고 있다. 충북과 충남, 대전과 세종을 아우르는 인구 550만명의 경제공동체인 초광역도시(메가시티)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17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이시종 충북지사, 양승조 충남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은 오는 20일 세종수목원에서 만나 충청권 메가시티에 대해 처음으로 논의한다.

메가시티는 행정적으로 구분돼 있으나 핵심도시를 중심으로 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도시권이다. 메가시티는 수도권 비대화에 대응한 지방 생존 전략으로 경제적 낙후, 인구 소멸 극복 대안으로 꼽힌다.

충청권 시·도지사는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협의체 구성과 4개 시·도 연구원에 공동 용역을 맡긴다는 내용이 담긴 합의문을 작성할 계획이다.

충청권 메가시티가 실현되면 인구 550만명의 초대형 경제·생활공동체로 지역경쟁력이 높아지고 지역 숙원사업 해결에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충청권에서는 메가시티와 관련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충북이 추진하는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 건설, 대전도시철도 1호선 세종시 연결 등이 대표적이다.

광역철도는 충북도와 대전시, 세종시가 공동 추진한다. 대전 1호선~세종청사~조치원~오송~청주 도심~청주국제공항을 철도로 연결하는 것이다. 충청신수도권 광역철도가 완성되면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새로운 광역생활권이 형성되고 중부권 중심도시권역 육성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와 세종시도 경제자유구역 지정, 광역교통시스템 개선 등을 공동 추진하고 있다. 내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되는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 사업은 두 도시의 접경지역을 복합도시로 개발, 산업·물류 및 수도권 공공기관 입주를 유도한다. 지난 2월부터 공동협력 사업을 발굴하기 시작해 교통 및 경제·산업, 문화·관광, 교육, 안전, 자치행정 등 6개 분야 32개 협력과제를 선정했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지난 11일 괴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처음 제기됐다. 당시 김종민 최고위원은 “충청권 전체가 공동으로 발전할 비전이 필요하다”며 “충청권 메가시티를 시작할 때가 됐다”고 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충청권 메가시티는 4개 시·도지사의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수면 위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협력 사업 등은 향후 연구용역을 통해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대전=홍성헌 전희진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