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성향에 따라 뇌 연결망 신호전달 체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 연구에서도 선후 관계는 증명되지 않아 정치 성향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친 것인지, 뇌 기능에 따라 정치 성향이 결정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서울대병원,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권준수 연구팀(장대익 이상훈 김택완)은 성인 106명의 정치 성향과 뇌 기능 네트워크를 분석해 뇌 연결망 차이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106명의 정치 성향을 설문지로 측정한 뒤 보수, 중도, 진보 성향 그룹으로 나눠 뇌 기능을 살펴봤다. 그 결과 정치 성향에 따라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뇌 영역들 사이의 신호전달 체계가 달랐다.
실험 결과 보수 성향의 피험자들이 진보 성향의 피험자보다 자기조절 능력이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뇌의 연결성이 5배 높았다. 보수 성향의 사람이 진보 성향의 사람보다 심리적 안정성이 높다는 뜻이다.
정치 성향에 따라 뇌의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여러 해외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뇌과학의 발전으로 뇌 영상 기술을 통해 사람의 심리 기전을 뇌의 변화를 통해 볼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영국 엑서터대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연구팀은 미국 민주당원과 공화당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수인 공화당원들에서 위험이 동반된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 편도가 과활성화되고, 섬피질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위험 자극에 보수 성향 사람의 뇌가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뇌의 전체적인 기능성, 연결성을 연구한 보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권 교수는 “정치적 성향에 따라 뇌 기능의 차이가 생겨난 것인지, 뇌 기능 차이로 인해 정치적 성향이 다른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다만 정치적 입장에 따라 뇌의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홍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