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첨단산단에 ESS 발전특구…신재생 전력거래 실증

입력 2020-11-16 14:24

광주 북구 첨단산단에 에너지 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특구가 신설된다. 오는 2024년까지 195억원을 투입해 민간 중심의 전력거래 실증사업도 추진한다.

광주시는 “최근 정부의 규제자유특구위원회 심의에서 ‘광주 그린에너지 ESS 발전 규제자유특구’가 최종 통과됐다”고 16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가 규제제약을 벗어나 신기술 개발과 함께 혁신성장을 꾀할 수 있도록 국비를 지원하는 특구로 지정한다는 것이다.

ESS 특구는 광주형 인공지능(AI)-그린뉴딜 정책을 통해 혁신적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정책에 매우 부합된다는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시는 ‘2045년 에너지자립도시 실현’이라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에너지 신산업과 지역의 혁신성장을 이끌 새로운 ESS 시장을 선점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동력도 확보하게 됐다.

ESS 특구는 첨단산단 2.5㎦ 구역이다. 시는 이 곳에서 신재생에너지 ESS기반 전력거래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내년부터 2024년까지 국비 111억원 등 195억원을 투입해 신재생 방식으로 생산한 전력을 전기차 충전소와 공공건물에 전국 최초로 판매하게 된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한국전력이 전력망 관련 서비스를 거의 독점해왔다. 이로인해 민간 중심의 전력거래 시장 형성이 가로막혀왔다.

하지만 시는 완화된 규제 적용과 함께 국비가 지원되는 ESS 특구 지정을 통해 민간 신재생 에너지 거래시장이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구에서는 산단 내 산재한 태양광 발전전력을 집적하는 대용량 전기저장장치(ESS)를 설치·운영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수립한다.

특구 참여 사업자에게는 전기저장장치(ESS) 발전소 인프라 구축, 전기저장장치 발전소 제어, 빅데이터 기반 ESS발전 종합운영상황실 운영, 전기차 충전소와 공공건물 대상 전력거래 등 실증특례 4건이 허용된다.

이들은 또 대용량 ESS 발전소 운영기술 개발과 전력 직거래를 통한 새로운 사업진출의 기회를 갖는다. 이 사업모델이 확산되면 태양광 발전과 ESS 사업 활성화로 신규 고용창출은 물론 관련분야 투자유치가 늘어나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형 인공지능(AI) 그린 뉴딜 실현으로 미래 산업을 육성하려는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기업과 시민이 스스로 생산한 신재생 전기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언제든 사고팔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