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영재학교 중복지원이 금지되며 지필평가 문항이 절반으로 축소된다. 영재학교와 과학고의 전형 기간이 줄어들며 지역균형선발과 사회통합전형 확대를 추진한다. 교육부는 16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영재학교·과학고 입학전형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편안은 지난해 11월 발표한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 성격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영재학교 중복지원을 금지하기로 했다. 현재는 영재학교 지원자가 여러 학교에 중복 지원해 1단계를 통과하면 학교 하나를 골라 2단계를 응시해왔다. 올해 영재학교 입학전형 결과를 보면 1단계 전형 합격자 9304명 가운데 40% 이상이 중복 합격자였다. 교육부는 ‘입학경쟁률 상승과 전형 운영 관련 행정력 낭비’를 중복지원 금지 이유라고 설명했다.
전형 기간도 축소한다. 영재학교는 3~8월, 과학고는 8~11월 학생을 선발해왔다. 이를 각각 6~8월, 9~11월로 축소하기로 했다. 영재학교와 과학고 응시 학생의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돕기 위해서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영재학교와 과학고 입학전형 운영 상황을 분석해 영재학교와 과학고의 입학전형 시기를 일원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영재학교 지필평가 문항 수는 줄어든다. 영재학교 8곳의 평균 지필평가 문항은 수학 22.4개, 과학 44개다. 이를 수학 10개, 과학 25개 내외로 줄인다. 선다형·단답형 문항은 수학 80.9%, 과학 62.3% 수준이었는데 수학과 과학 모두 30% 이내로 줄이도록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문항 수가 많아 사교육 도움을 받아 기계적으로 문항을 푸는 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라면서 “서술형 문항 비율과 문항 수 조정을 통해 문제풀이 과정을 강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역인재선발은 확대된다. 영재학교 입학전형 2단계 통과자 중 학교 소재지, 영재학교 미소재 지역 등 학교가 정한 지역의 우수학생을 우선 선발하는 지역인재전형을 확대키로 했다. 전형 운영 규모와 전형 방법 등은 학교와 시·도교육청이 협의해 결정토록 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영재학교 재학생의 70% 이상이 수도권 출신이며 특히 특정지역 출신자 비중이 높계 나타나는 지역 편중 현상을 해소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영재학교 입학전형의 사교육 및 선행학습 유발 정도를 점검해 입학전형을 개선할 수 있도록 ‘영재학교 입학전형 영향평가제’를 도입·운영할 계획이다. 영재학교에 대한 ‘학교운영 성과평가 제도’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다. 영재학교가 ‘의대 진학 통로’ 등 설립 취지에 맞지 않게 운영될 경우 영재학교 자격을 박탈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장기 검토 사항으로 정책연구 및 법령 개정을 거쳐 ‘제5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23~2027년)’에 반영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