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전국 학원·교습소에 대학수학능력시험 1주일 전부터 대면수업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했다. 정부 권고를 따르지 않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전파 경로가 된 학원·교습소는 교육부 홈페이지에 이름을 공개키로 했다. 수능 직전 코로나19 위험도를 줄여보려는 의도지만 권고가 현장에 작동할지는 미지수란 평가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1학년도 수능 집중 안전관리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먼저 수능 시행 2주 전인 오는 19일부터 수능 당일인 다음 달 3일까지 ‘수능 특별 방역기간’을 운영한다. 이 기간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학원·교습소, 지자체는 스터디카페를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수능 1주일 전인 26일부터는 학원·교습소, 수험생에게 대면수업 자제를 권고했다. 교육부는 “이 기간 학원·교습소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고 ‘학원 감염자의 학원 내 접촉자가 확진 판정된 경우’ 감염 경로 및 사유 등을 교육부 홈페이지에 다음 달 2일까지 공개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실효성은 의문이다. 학원·교습소에선 수능 직전 각종 특강 상품을 판매하는 게 일반적인데 사교육업체와 수험생들이 대면수업을 자제하라는 정부 권고를 따를지 회의적이란 평가도 나온다.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를 위한 별도 시험실 규모도 공개됐다. 코로나19 확진 수험생은 총 29곳 120여개 병상에서 수능을 치르게 된다. 주로 거점 병원과 생활치료센터에 시험실이 마련될 예정이다. 격리 수험생의 경우 전국 86개 시험지구마다 별도 시험장을 운영하며 모두 113개 시험장, 754개 시험실을 확보했다. 1인 1실 기준으로 확진 및 격리 수험생 874명이 수능 응시가 가능한 규모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서 수능을 치를 확진·격리 수험생 수를 예측하긴 어렵다”며 “만약 지역별로 현재 준비된 수용 규모를 초과해 확진자 혹은 격리자가 나올 경우 한 시험실에 여러 명이 시험을 보도록 하거나 추가 시설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