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로봇이 음식을 배달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 활동을 벌이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세종시는 최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세종 자율주행 실외로봇’ 실증 사업이 최종 지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존 ‘세종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 사업에 자율주행 실외로봇 운영 실증사업을 추가한 것이다.
이번 결정에 따라 세종시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용한 셔틀 서비스에 더해 자율주행 로봇이 각종 비대면 서비스를 수행하는 자율주행 특화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사업은 먼저 세종 중앙공원 등에서 비대면 서비스 분야인 음식배달, 코로나방역, 보안순찰 자율주행 실외로봇에 대한 안전성·상용화 검증작업이 진행된다.
검증 작업을 통해 자율주행 실외로봇의 표준·인증체계가 마련되면 비대면 서비스 로봇의 조기 상용화, 로봇산업 생태계 고도화, 부품 국산화 등이 추진된다.
개별 시범운행 중심으로 진행되는 샌드박스 사업과 다르게 이번 사업은 지역 내 실증로봇의 통합관제 구축, 공통 충전·주행 체계 개발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자율주행 인프라와 지역 공원 등 세종시에 이미 갖춰진 실증 환경을 활용하는 만큼 자율주행 산업의 다변화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자율주행 로봇 영상데이터에 대한 수집과 활용을 허용, 관련 빅데이터를 중소기업·스타트업및 연구기관 등에 개방할 예정이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이어 자율주행 실외로봇 실증까지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세종시가 국내를 대표하는 자율주행 특화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로봇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자율주행 산업의 다변화, 정부의 디지털 뉴딜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관련 빅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하면 자율주행 로봇 연관·응용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다. 시민 삶의 질도 한층 좋아지도록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