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까지 통관과 인증 등 수출 관련 각종 절차를 전자화하고 비대면 금융・법률 서비스 신설 등 수출의 전 과정을 디지털로 전환한다. 또 매년 1만개의 수출기업을 발굴해 온라인 마케팅과 자금 등을 지원해 내수 중소기업들의 ‘수출기업화’도 추진한다.
정부는 13일 오전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확대무역전략조정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무역 디지털 전환 대책’을 확정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국의 무역이 ‘10만 수출기업, 무역 1조불’을 넘어 ‘20만, 2조불 시대’로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구조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구조혁신’은 현재 대기업 중심인 수출 구조를 디지털화를 통해 중소기업 비중을 늘려 수출 저변을 늘리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3분기 기준 전체 수출 가운데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은 19.4%로 여전히 대기업보다 적은 편이다. 수출 중소기업 수도 지난해 기준 9만5000개로 10만개 이하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경제 확산이 되면서 온라인 수출도 증가세다. 정부는 이런 추세에 맞춰 ‘수출지원시스템의 완전하고 총체적인 디지털 전환’을 추진. 이를 위해 전자무역체계를 개편하고, 통관·인증도 전자화한다는 계획이다. 비대면 금융・법률 서비스를 새로 만들어 내년까지 수출 전 과정을 디지털화한다. 아울러 이런 디지털화된 수출지원체계와 물류, R&D, 인력 등 오프라인과의 연결체계도 구축한다.
또 내년에 수출 관련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 ‘바이코리아(코트라 운영)’ ‘고비즈코리아(중소기업진흥공단 운영)’ ‘트레이드코리아(무역협회 운영)’등 3대 ‘B2B 플랫폼’을 기능적으로 통합하고, 입점기업을 늘려 규모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 플랫폼을 바탕으로 글로벌 전자상거래기업인 아마존, 알리바바 등과 정부가 협력을 주선해 수출을 늘린다. 이곳에 ‘3대 B2B 플랫폼 공동 한국관’을 구축하면 개별 기업이 B2B 플랫폼에 각각 입점하지 않더라도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기회가 열린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