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를 인정하지 않아 행정부의 정보 당국 브리핑을 제공하지 않는 데 대해 안보 태세에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공화당 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 7일(현지시간) 선거인단 270명을 넘기며 승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우편투표 사기를 주장하며 무차별 법적 소송을 진행 중이다. 이로 인해 대통령 당선인에게 사무공간과 인력, 자금 등을 제공하는 총무청(GSA)이 승자 확정을 미루면서 바이든은 정부로부터 당선인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 국가정보국(DNI)도 바이든에게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은 GSA가 선거를 인증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난 9일 밝힌 바 있다.
공화당 상원 2인자인 존 튠 원내총무는 12일 바이든 당선인이 기밀 브리핑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모든 긴급 사태에 대비하는 게 타당하다고 생각한다”면서 “국가안보 관점, 연속성 차원에서 중요하다”고 답했다. 그는 다만 “선거에 대한 이의제기가 법정에서 진행되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을 옹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도 바이든의 브리핑 접근성에 대한 질문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상원 금융위원장이자 법사위 소속인 척 그래슬리 공화당 의원 역시 같은 질문에 “특히 기밀 브리핑에 대한 나의 답은 ‘그렇다’이다”라고 답했다.
그는 2000년 대선 당시 짧은 인수 기간이 준비 부족을 야기했다는 9·11 보고서를 상기하면서 “2000년에 일어났던 일이 무엇이든지 간에 (했던 일을) 다시 해야 한다고 말한 것을 고수하겠다"고 말했다.
공화당의 조지 W 부시 텍사스 주지사와 민주당의 앨 고어 부통령이 플로리다 개표를 놓고 한 달여 간의 법정소송을 벌인 2000년 대선 당시 빌 클린턴 백악관은 한동안 부시에게 정보를 주지 않다가 고어의 요구로 브리핑을 제공한 적이 있다. 부시 인수위의 본격적인 활동이 상당시간 지연된 데 이어 이듬해인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하자 초당적 9·11 보고서는 테러 공격을 앞둔 안보 태세 부족을 지적한 바 있다.
제임스 랭크포드 상원의원은 오클라호마주 털사의 지역언론인 KRMG 라디오에 출연해 한 발짝 더 나아가 GSA가 13일까지 바이든이 정보 브리핑을 받도록 선거를 인증하지 않으면 개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랭크포드 역시 2000년 상황을 거론하며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실제 업무를 준비할 수 있게 어떤 식으로든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수전 콜린스, 리사 머코스키 의원도 정보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물론 이들 상당수도 대부분의 공화당 의원들처럼 바이든의 승리 소식이 전해진 뒤에도 이를 인정하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의 법적 다툼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랭크포드는 “바이든은 계속해서 직분을 다하고 ‘나는 당선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그렇게 말하길 원한다면 준비 작업을 하는 게 좋다는 것”이라며 “대통령 역시 ‘너무 빠르다. 난 질문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