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오는 17일쯤 일본을 방문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 중이라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에 관여한 일본 기업들의 한국 내 자산 현금화 시점이 연말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양국이 갈등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몰린다.
아사히신문은 12일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서 실장의 방일 시점이 오는 17일을 축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 방문이 성사될 경우 지난 10일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이날 한일의원연맹 대표를 맡고 있는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이어 주요 인사가 줄줄이 일본을 방문하는 것이다. 서 실장의 경우 지난 7월 취임한 이래 첫 일본 방문이다. 다만 청와대는 서 실장의 다음주 방일설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며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사히는 서 실장이 일본 전범 기업에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을 명령한 한국 대법원 판결과 관련해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조선인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 여전히 냉랭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일본 정부와 여권은 문재인정부가 2015년 12월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뒤집고 일본 정부가 자금을 지원한 위안부 지원 재단을 해산시킨 사례를 거론하며 한국이 약속을 해놓고 나중에 또 파기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박 원장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의 면담 내용이 언론에 공개된 것에 대해서도 일본 내에서는 “총리 관저의 오산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통상 외교 문제나 정보 공유를 위한 고위급 회담은 극비리에 이뤄지는데 박 원장과 스가 총리 회동 정보는 외부로 새어나갔다는 것이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날 일본 외무성 관계자를 인용해 “(면담 내용 공개로) 일본 보수층의 반한 감정을 자극할 수 있고, 한국 측에는 문재인정부가 추진 중인 한·중·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