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원전안전의 컨트롤 역할을 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유치에 본격 나섰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원안위 사무소를 원전에서 30㎞ 이내 지역으로 한정해 원안위 지방 이전을 명시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국회의원들이 발의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현재 서울에 있는 원안위가 원자력발전소이 위치한 지방으로 이전하게 된다.
울산시는 전국에 가동 중인 원전 24기 중 12기가 울산과 부산 기장, 경주 월성 등에 위치해 있어 원전 밀집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다.
울산 울주군에는 지난해 새울원전본부에서 관리 중인 신고리 3·4호기가 모두 준공된데 이어 신고리 5·6호기도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준공된다.
울산 5개 구·군이 원전 반경 30㎞로 설정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에 포함되는 울산은 항상 방사능재난의 위험에 상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고리 및 월성 원전의 중간에 위치해 있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등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이전 장소로는 최적화된 지역이다.
시는 이에 따라 원안위 울산설치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하는 한편 울산시민들은 물론 지역 정치권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유치에 총력을 다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부산 기장과 경북 경주 등도 원안위 유치활등을 펼치고 있다. 기장군은 부지 무상 제공 등을 제시했고 경주시는 한수원 본사 등 세계 최대 원전 관련 시설 밀집 지역 등을 부각시키고 있다.
국무총리 소속 차관급 독립위원회인 원안위는 현재 서울 종로구 세종청사에 위치해 있으며 산하기관으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등을 두고 있다.
시 관계자는 “원자력시설이 밀집된 우리지역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유치된다면 현장 중심의 방사능 안전관리대책 추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 ‘원자력안전위원회’ 유치에 나서... 부산·경주와 경쟁
입력 2020-11-12 14:54 수정 2020-11-12 1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