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흑서’로 불리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의 공동 저자 서민 단국대 교수가 “국민은 자신들이 똑똑하다는 착각을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며 “문재인 대통령이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지지도가 높은 이유 중 하나는 잘생긴 게 크다”고 말했다.
12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한 서민 단국대 교수는 “민주주의는 국민이 주인인 제도이고 정치 수준도 한 나라의 국민 수준이다”라며 “그동안 우리나라 정치권과 언론이 ‘국민은 위대하다, 국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수사를 남발했기 때문에 국민이 자기들이 똑똑하다고 착각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예를 들어 ‘맘카페’에 가보면 문재인 대통령이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지지도가 되게 높은데 그 이유 중 하나로 잘생긴 게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게 과연 국민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느냐, 이런 것은 좀 비판을 해야 하지 않느냐는 말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정권이 잘못하면 따끔한 질책 같은 것을 지지율로 보여줘야 한다. 지금은 40% 넘는 콘크리트 지지를 하고 있으니 현 정권이 ‘뭐든 해도 괜찮겠구나’란 착각을 하고 실제로 모든 것을 다 하고 있다”며 “무조건적인 지지, 진영 논리는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행위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서 교수는 전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초선 모임에 강연자로 등장해 “국민의힘 지지율이 안 오르는 것은 국민 탓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여당의) 잇단 악재에도 문재인 대통령이 콘크리트 지지율을 유지하고, 이 지지율이 정권을 막 나가게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수련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