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연내에 우리 국민 60%가 접종할 수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최대한 많은 분량의 백신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12일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백신 확보에 대한 기본 입장을 언급하며 “설령 선입금을 포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충분하고 되도록 많은 양을 확보하고 구매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최근 특정 기업 백신의 효과성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백신 개발과 확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아직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우선 연내에는 전체 인구의 60%(에 해당하는 물량)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원활하게 잘 진행하고 있다”면서 “단호하게 전체 선입금을 포기하는 한이 있더라도 충분한 양을 확보하도록 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정부는 현재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확보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다지는 동시에 글로벌 제약사와 개별적으로도 계약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백신 1000만명분을, 글로벌기업과는 개별 협상을 통해 2000만명분을 각각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권 부본부장은 “코백스 기구와 관련해서는 우리나라는 선택 구매모델을 선택했다”면서 “코백스 기구에서 심사하고 안전성·유효성이 통과된 백신을 제시하면 그중에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국민 건강, 안전을 위한 것인 만큼 백신 도입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백신 사용은 국민 여러분의 안전을 위한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기술적인 면에서 보자면 최우선으로 백신의 안전성, 효과성에 대한 면밀한 평가는 기본”이라고 말했다.
이어 “백신 도입과 접종은 시행의 편리성, 또 적시에 이를 대량생산해서 공급할 수 있는 생산·유통·운송체계 등 종합적으로 모든 면이 사전에 검토되고 준비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