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전국 기초단체 최초로 시행되는 충북 청주의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행정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청주시는 준공영제 운영 관련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준공영제 관리위원회를 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위원회는 시의원, 운수업체 대표, 노동조합 대표, 교통분야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 각각 2명 등 13명이 운영위원으로 참여한다. 위원의 임기는 2년이고, 연임이 가능하다.
위원회는 표준운송원가 결정, 운송수입금 관리 및 배분, 준공영제 갱신 및 중단, 페널티 및 인센티브, 운영예산 및 결산, 정관 변경 등을 심의·의결한다.
시는 관리위원회 사무국도 별도로 구성할 계획이다.
3억8000만원을 투입한 버스 운행관리시스템(BMS·BusManagementSystem)도 내달부터 시범 운영된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버스정보안내기(BIS) 위치 정보, 배차 및 운행 정보, 교통카드 정보, 디지털 운행기록 정보, 노선별 승객수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버스업체에 대한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고 운행 관련 민원이 발생할 때 신속한 원인분석과 대응이 가능해진다.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지자체가 버스 운송업체의 적정 수입을 보장해주는 대신 노선 운영 관리 및 조정, 노선 신설 및 개편 등의 권한을 갖게 된다. 인건비, 연료비, 적정이윤 등으로 산출한 표준운송원가를 차량 대수별로 배분한 뒤 수입금의 부족분을 시에서 지원한다.
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매년 351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 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것은 청주시가 처음이다.
청주지역에는 청신운수, 동일운수, 청주교통, 우진교통, 동양교통, 한성운수 등 6개 시내버스 운송업체가 400대, 170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청주시 관계자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만큼 성공적인 시작과 정착을 위해 앞으로도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