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간 수도권 폐기물 여기로… 인천 매립지 후보 발표

입력 2020-11-12 07:44 수정 2020-11-12 09:53
인천 에코랜드 조성 모델 예시. 인천시 제공

인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소각재를 처리하게 될 신규 자체 매립지 ‘인천에코랜드’ 후보지가 12일 발표된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날 오전 11시 시청 브리핑실에서 인천에코랜드 입지 장소를 발표하고 친환경 자원순환 정책을 공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서울·인천·경기 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는 서구 백석동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 사용 종료한다는 방침에 따라 인천에코랜드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5만㎡ 미만 규모로 조성되는 인천에코랜드는 수도권매립지의 100분의 1 규모지만 생활폐기물을 그대로 땅에 묻는 직매립 방식이 아니라 폐기물 소각재만 묻는 방식이어서 약 40년간 사용할 수 있다.

인천시는 주변에 미치는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립시설을 지하 40m에 만들고 돔이나 건축물 시설로 밀폐해 외부와 차단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인천에코랜드 후보지 발표 때 신설 광역자원순환센터(소각장) 4곳의 후보지도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직매립을 중단하고 에코랜드에서 소각재를 처리하려면 폐기물 소각시설 확충이 필수이기 때문에 인천시는 자원순환센터 4곳을 신설해 총 7개의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신설 센터는 2~3개 군·구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고, 기존 송도·청라 지역 3개 센터 중 2개는 현대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자체 매립지와 폐기물 소각장은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탓에 주민 반발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자체 매립지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 주민들은 지난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 의견을 무시하고 우리 지역에 쓰레기매립지를 조성할 경우 죽을 각오로 저지하겠다”고 반발하는 등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다.

인천시는 매립지와 자원순환센터 주변 지역에는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한편 주민들과의 충분한 소통을 거쳐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에코랜드 유치 지역에는 매년 58억원 규모의 지역발전기금 지원, 100억원 이상 규모의 근린공원과 체육시설 설치, 지역주민 숙원사업 우선 해결 등의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에코랜드 관리·운영 주민 참여, 폐기물 반입 수수료 가산 징수금 면제 등도 약속했다.

자원순환센터 유치 지역에는 주민 요구를 반영한 체육시설·공원·카페 등 주민 편익시설을 설치하고 지역발전기금·특별조정교부금 제공 등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는 1992년 수도권매립지 개장 이후 30년 가까이 서울·경기 등 다른 지역 쓰레기를 처리하느라 주민 환경 피해가 심각하고 지역 개발 사업에 악영향을 받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라도 에코랜드와 소각시설 확충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한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