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매표·상담·역무 등을 담당하는 한국철도(코레일) 자회사 ‘코레일네트웍스’ 노동조합이 11일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전 4시부터 파업에 들어간 전국철도노조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철도자회사지부) 소속 조합원 1000여명은 오후 1시 대전역 동광장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개최했다.
이번 총파업은 코레일네트웍스 노·사의 2020년 임금 및 현안교섭 최종 결렬에 이어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며 단행됐다.
노조는 한국철도와 코레일네트웍스가 개선된 위탁계약을 체결했음에도 사측이 계약서 및 단가산출 내역서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기획재정부 예산편성지침과 공공기관 혁신 지침 등을 이유로 사측이 인건비 인상을 회피하고 있다고도 했다.
철도노조는 “코레일네트웍스는 93% 이상의 직원이 무기계약직과 기간제로 구성돼 있다”며 “원청인 한국철도와의 위탁계약이 개선돼도 그 재원을 인금 인상분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강제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평생 저임금과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철도자회사지부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권리를 지키겠다는 굳은 의지로 총파업을 결의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코레일네트웍스는 노조 측에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전향적 결단을 촉구한다”고 했다.
코레일네트웍스에 따르면 노·사·전 합의에 따라 2020년도 시중노임 단가의 100%(전년대비 약 13.2% 증가)를 반영, 한국철도로부터 실질적인 임금인상 재원을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코레일네트웍스가 정부의 예산편성지침을 적용받는 기타공공기관인 만큼, 정부의 총인건비 인상률인 4.3% 범위를 초과해 인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정년연장 요구 역시 정부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코레일네트웍스는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추가 협상을 통해 해결책을 찾길 희망한다”며 “인건비와 관련해서는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