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나흘째 세 자릿수로 이어지면서 방역 위협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의료기기 체험방에서는 방역 당국이 수차례 이용 자제 등을 권고했으나 또 집단 감염이 발생했다. 요양병원·시설의 종사자 전수검사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감염 사례도 있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전일 대비 146명 늘어 총 확진자가 2만779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중대본 회의에서 “방역수칙을 소홀히 한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언제, 어디서나 폭발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강원도 원주에선 의료기기 판매업과 관련해 이날 정오까지 6명이 추가 확진돼 총 23명이 감염됐다. 이곳은 의료기기 체험도 가능한 공간이다. 앞서 지난달 서울 송파구에서도 의료기기 체험방 집단감염이 발생해 방역 당국이 여러 차례 이용 자제와 방역 수칙 준수를 당부했으나 또다시 감염이 발생한 것이다.
서울 성동구 요양시설(금호노인요양원) 집단감염을 막지 못한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이곳에서는 이날 정오까지 2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수도권 요양시설·병원의 ‘조용한 전파자’를 찾기 위한 종사자 전수검사가 지난달 19일부터 실시돼 서울의 경우 지난 6일 완료됐으나 이 시설의 감염을 발견하지 못했다. 방역 당국은 이 요양시설의 종사자 전수검사 시기와 시행 당시 문제가 없었는지 등을 파악 중이다.
경남 사천에서는 경로당을 매개로 한 집단감염이 발생해 사회복지시설 방역에도 비상이 걸렸다. 관련 확진자는 총 14명이 됐다. 사회복지시설은 밀접하게 모여 대화를 하거나 음식을 나눠 먹는 공간이어서 감염 확산 우려가 있으나 문을 닫기 어렵다. 노인, 아동, 장애인 등에 대한 돌봄 공백 우려 때문이다.
정부는 이날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운영지침을 거리두기 단계별로 개편해 발표했다. 거리두기 1단계에서는 시설 프로그램 참여 인원을 4㎡당 1명으로 제한하고 방역수칙을 준수하도록 했다. 1.5단계에선 노인 등 고위험군이 많은 시설은 시간제나 사전예약제를 운영하도록 했다. 2단계에선 정원의 50% 이하, 최대 100인으로 인원을 제한하고 실내에서의 음식물 섭취를 금지키로 했다. 2.5단계에서는 정원의 30% 이하, 최대 50인으로 취약계층 위주로 운영하게 된다. 3단계부터는 운영을 중단하되 취약계층에 대한 긴급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날 ‘신속진단검사법’으로 불리는 항원 진단시약을 정식 허가했다. 검사시간이 30여분 정도로 짧지만 정확도는 유전자증폭(PCR)검사에 비해 다소 떨어져 확진자가 대규모로 발생할 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