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021년 예산안으로 13조3017억원을 편성해 부산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안은 올해의 본예산(12조5906억원)보다 7111억원(5.6%) 늘어난 규모로, 일반회계 10조3425억원, 특별회계 2조9592억원이다. 부산시 일반회계가 1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입 여건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로 지방세가 올해 대비 1078억원 감소했으나 정부의 한국판 뉴딜 등으로 국고보조금이 4527억원 증가했다.
예산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환’이란 목표로 편성됐다. 지역경제 역동성 회복, 안전하고 살기 좋은 도시환경 조성,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와 문화 등 3대 중점분야 13개 과제에 6조894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지역경제 회복,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감염·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시민안전, 문화·스포츠·관광 생태계 회복 지원 등을 핵심전략 실천과제로 추진한다.
지역경제 회복 과제로 부산형 뉴딜 추진(2377억원), 소비 활력 제고(708억원) 등을 추진하고, 미래형 산업구조 혁신(179억원), 블록체인 규제 자유 금융도시 조성 사업(79억원) 등 미래 먹거리 사업 육성 예산도 편성했다.
고용·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저소득계층 소득보장강화(6260억원),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1027억원), 지역맞춤일자리(363억원), 청년 희망일자리(393억원) 등을 추진한다.
방역시스템 및 공공의료 시설 확충을 위해 2323억원의 예산을 편성했고 소방·안전장비 구축(332억원), 안전도시 실현(379억원), 도시숲·녹생공간(361억원) 등을 편성했다.
문화‧스포츠‧관광 분야 생태계 회복을 위해 문화 예술 지원(1636억원), 관광도시·스포츠 인프라 확충(566억원) 등을 투입한다.
더불어 전기차 지원 확대, 전통시장 온라인 상거래 활성화, 공공심야약국 운영, 자녀안심 그린 숲 조성, 통합문화 이용권 지원, 원격검침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2021년 예산안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환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의 미래를 준비한 예산”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2523억원 규모의 제4회 추경 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추경 예산은 자치구·군의 조정교부금(357억원) 등 연내 필수 투자사업으로 재원을 활용하고 전기차 매칭 보조금 등 내년 이월이 가능한 예산으로 편성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