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전주역 뒷편에 6600여 가구의 주택을 조성하는 역세권 개발 사업이 이달 중 첫 단추를 꿴다.
11일 LH 전북지역본부에 따르면 ‘전주역세권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사업의 보상액 산정을 위한 지장물 기본조사를 이달 말 착수한다. 기본조사는 사업지구에 편입되는 건물과 수목, 영업, 농작물 현황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향후 보상액 산정을 위한 감정평가 자료로 활용된다.
LH 전북본부는 기본조사 이전 보상 설명회 격인 ‘주민설명회’를 오는 20일쯤 열 계획이다. 또 다음 달 중순까지 국토교통부에 실시 계획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이번 기본조사 착수는 지난 9월말 발주한 ‘전주역세권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장물 기본조사 용역’ 업체로 ㈜프라임 감정평가법인이 선정된 데 따른 것이다.
전주역세권 개발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2018년 12월 고시했다. 대상은 전주역 뒤편 전주시 우아동 일원 106만㎡ 규모다.
LH 전북본부는 이 사업 지구에 공공지원 민간임대 3400여가구, 공공임대 1300가구, 민간분양 1700가구 등 총 6600여 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 하반기 보상에 들어간 뒤 2028년 12월까지 이 사업을 마칠 예정이다.
LH 전북본부는 전주역 생활권과 연계를 위해 입체보행로 조성, 단지 연결도로 및 동부대로 접속도로를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구단위 계획을 통해 단지를 특화해 전략산업 인프라와 창업지원을 위한 성장동력 공간도 확보할 계획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전주역 중심의 신규 배후거점도시를 형성, 동부권의 균형발전과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공적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LH측은 보고 있다.
LH 전북본부 관계자는 “전문성 있는 평가기관의 기본조사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원활한 사업추진 효과를 기대한다”며 “사업이 완료되면 전주역 신규 배후거점도시가 형성돼 전주시 동부권 균형발전과 서민주거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주시가 이 사업이 추진될 경우 도심 공동화가 우려된다며 반대하고 있어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전주시는 이미 시내에 아파트가 과잉 공급돼 있어 공급량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