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거주자들의 경기도 아파트 매수가 올해 들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0억원을 돌파한 가운데 주택 공급 부족과 임대차 3법이 부른 최악의 전세난이 겹쳐 발생한 현상으로 보인다.
11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감정원의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9월 서울 거주자의 경기도 아파트 매입은 3만3695가구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서울과 근접한 고양시 아파트 매입이 가장 많았다. 같은 기간을 비교했을 때 전년 매입 건수 평균은 2202가구지만, 올해 4246가구로 평균의 2배 가까이 뛰었다. 남양주시 매입도 증가 폭이 크다. 1∼9월 평균 1659가구를 매입했지만, 올해는 3436가구로 2.1배 늘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B, 고양선, 별내선 등 교통 호재와 함께 창릉·왕숙 등 3기 신도시 공급에 대한 기대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매입 증가 폭이 가장 큰 지역은 김포시였다. 비규제지역 풍선효과로 수요가 몰린 김포시는 같은 기간 2995가구가 서울시민에게 팔렸다. 예년 평균 822가구와 비교하면 증가 폭이 3.6배나 된다. 지난 6·17 부동산 대책 조정대상지역에서 제외된 데다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를 이용해 서울 여의도까지 이동이 수월하다는 점이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새 임대차보호법 시행에 따른 전세 매물 부족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인한 주택 공급 부족으로 전세가와 매매가가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서울 거주자들의 경기도 아파트 매입은 갈수록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