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시장은 10일 “인천시 온실가스의 주원인인 화력발전으로 인해 인천시민들이 큰 피해와 고통을 받아오고 있다”며 “탈석탄 동맹 가입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이행과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박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옹진군 영흥도에는 1994년부터 수도권 시민을 위해 전기를 만들었던 영흥화력발전소가 위치하고 있다”며 “우리 시 온실가스의 30%가 바로 이곳에서 나온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어 “지난 금요일 실국장회의에서도 언급했듯 문재인 대통령의 ‘2050 탈석탄선언’ 기조에 발맞춰 영흥화력발전소도 조금 더 빨리 문을 닫아야 한다”면서 “지난달 대통령 주재로 열린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도 조기폐지와 LNG전환을 적극 건의했다”고 강조했다.
오랜 기간 발전소에서 내뿜는 대기오염 물질로 고통받아온 영흥을 석탄으로부터 해방시키겠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수도권매립지에 수도권 쓰레기를 묻고, 영흥화력발전소에서는 수도권 전기를 생산하면서 인근 주민을 포함한 인천시민들이 큰 피해와 고통을 감내해왔다”고 전제, “더 이상 수도권 전체를 위해 인천만이 희생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온실가스로부터 시민들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인천시민의 뜻이자 준엄한 명령이라는 것이다.
박 시장은 “지난달 13일 발표한 인천형 뉴딜 초안을 시민, 전문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쳐 종합계획 최종안으로 다듬는 과정에서 총 56건의 정책이 추가됐다. 그 중 탈석탄 동맹 가입계획도 포함됐다”며 “가입 추진을 시작으로 친환경 에너지 정책에 더욱 힘을 싣겠다”고 밝혔다.
시는 인천형 뉴딜에 2025년까지 총사업비 14조원을 투자해 양질의 일자리 17만3000개를 창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천시의 최대 현안인 수도권쓰레기매립지를 2025년까지만 사용하기위해서는 영흥도에 소각재를 처리할 수 있는 자체 매립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옹진군과 영흥면 주민들의 반발을 어떻게 해소하느냐가 최대 시정현안으로 급부상했다.
인천시 환경당국 관계자는 “영흥도 현지 주민들의 반발을 고려해 전체 사업비의 상당부분을 주민들을 위한 비용으로 환원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