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와 포항시가 포항 영일만을 횡단하는 다리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현재 추진 중인 동해안고속도로 포항~영덕 구간의 총사업비 변경을 통해 영일만 횡단대교를 건설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국회와 중앙부처에 지속해서 건의하고 있다.
포항~영덕 구간(30.9㎞)은 총사업비 1조3179억원을 투입해 2016년부터 2023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영일만 횡단구간은 포항시 남구 동해면에서 북구 흥해읍까지 전체 길이 18㎞로 해상교량 9㎞, 터널 2.9㎞, 도로 6.1㎞로 총사업비는 1조6189억원 규모이다.
지난 2008년 정부의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추진된 영일만대교 건설은 첫 출발 이후 규모가 계속 축소돼 지지부진하지만, 건설 당위성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국토 균형발전과 정부의 신북방정책에 대비한 초광역 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영일만대교를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에서 포항을 거쳐 유럽으로 연결되는 아시안 하이웨이 6번 노선(AH6)의 핵심축으로 미래 경북의 100년을 위한 북방교역의 대동맥을 경북에서 시작하게 된다는 의미가 있다.
남북 통일시대를 대비하는 남북7축 국가간선도로망 구축 및 21C 환동해권의 물류허브 기능 강화와 동해안 관광산업 활성화, 국토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건설은 꼭 필요하다는 것.
또 영덕~포항 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는 2023년에는 교통량 증가로 교통체증, 물류비용 증가 등 경제·사회적 손실이 우려되고 있어 하루빨리 대교를 건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이 사업은 대형 국책사업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이 사업은 실현 가능성이 작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이철우 지사는 올해 1월 9일 ‘포항 배터리규제자유특구 GS건설 투자협약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에게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을 건의했다.
이후 정세균 국무총리에게도 지난달 30일과 지난 7일 지원을 요청했다. 지난 4일에는 대구를 찾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최고위원 등 민주당 지도부가 대구․경북지역 현안사업 및 예산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영일만대교가 건설되면 포항시 남쪽의 포스코, 철강산업단지,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와 북쪽의 영일만항, 배터리규제자유특구가 네트워크형의 교통순환체계가 마련돼 산업단지와 항만 성공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하늘길, 바닷길을 연계하는 통합신공항~영일만항을 경북 물류 양대 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은 경북에서 어느 SOC보다 가장 먼저 건설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