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행정통합의 윤곽을 잡기 위한 용역사업이 시동을 건다. 광주·전남 민간공항 통합에 관한 최초의 시민여론조사 결과도 공개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오는 11일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광주전남연구원에서 시·도 행정통합에 관한 용역 협의를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도는 잠정적으로 2억 원씩의 예산을 반영해 광주전남연구원에 행정통합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용역 협의를 위한 첫 모임에는 광주시 균형발전정책과장과 전남도 자치행정과장 등이 참석한다.
지난 2일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의 ‘광주·전남 행정통합 논의를 위한 합의’에 따라 향후 1년간 실시될 용역은 행정통합뿐 아니라 연방제 수준 경제협력공동체 구축과 실행 시기 등을 제시한다.
시·도민 여론 수렴 절차, 상생 협력 강화방안 등의 구체적 일정과 내용, 장·단점, 기대효과도 담는다.
광주전남연구원은 광주·전남 행정통합의 ‘청사진’이 될 용역의 중요성을 고려해 국내외 행정·조직 전문가들도 용역수행 연구진에 함께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첫 용역협의와 함께 광주·전남 행정통합·상생발전의 가늠자가 될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여부의 시민여론조사 결과도 같은 날 발표된다.
시·도 핵심 현안인 공항 이전문제의 분수령이 될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는 지역사회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집중되고 있다.
이 결과에 따라 시·도 통합 분위기가 한층 무르익거나 반대로 두 지자체의 갈등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은 2018년 8월 광주 민간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오는 2021년까지 이전·통합하기로 원칙적 합의를 이룬 바 있다.
하지만 민간·군 공항 동시 이전을 원하는 광주시와 민간공항의 우선 통합을 요구하는 전남도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광주에서는 최근 군 공항 이전 없는 민간공항 이전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광주시민 권익위는 이에 따라 지난달 30일부터 18세 이상 광주시민 2500명을 대상으로 민간공항 우선 통합 여부에 대한 시민여론조사를 해왔다.
권익위는 이 결과를 11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발표한 뒤 12일 민간공항 통합 정책 권고안을 광주시에 공식 제시할 예정이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생산적 민간공항 통합을 통해 지역 미래 발전의 초석을 마련하는 데 합의할 경우 시·도 통합논의는 한 걸음 더 전진하게 된다.
반면 민간공항 우선 통합에 반대하는 정책이 여론조사를 거쳐 확정되면 시·도 통합에 찬물을 끼얹고 소모적 반목과 갈등이 퍼질 개연성이 높다. 2018년 체결한 협약 파기를 둘러싼 논란도 거셀 전망이다.
시민여론조사 설문은 군 공항과 민간 공항을 동시 이전할 지 또는 분리 이전할지 방식과 시기, 이전 사업 주체, 통합 공항 명칭, 이전 사업비 부담 주체 등과 관련한 7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최영태 광주시 시민권익위원장은 “민간공항 정책권고안은 시·도 통합과는 별개 사안으로 이해해달라“며 ”최종 선택과 정치적 판단은 이용섭 시장과 집행부의 몫“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