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휴일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검사 건수가 줄어들면서 확진자 숫자도 적게 집계되던 ‘주말 효과’가 사라지고 있다. 지난 주말에는 전국적으로 270명에 육박하는 확진자가 나왔고 비수도권에서도 소규모 집단감염이 잇따랐다.
지난 7일과 8일은 주말의 영향으로 검사 건수가 평소의 절반 수준인 5000~6000명대였지만 신규 확진자는 오히려 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0시 기준으로 전일 대비 126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이날 밝혔다.
전날까지 포함하면 주말 이틀 동안 질병관리청에 신고·접수된 1만1950명의 검사 결과 중 2.25%에 해당하는 269건이 확진 사례로 분류됐다. 이는 코로나19 국내 발병 이후 누적 양성률인 1.02%의 2배를 웃도는 수치다. 직전 주말과 비교해서도 양성률이 상승했다. 김탁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는 “보통 주말에는 검사 건수와 확진자 수가 줄면서 1.5~2% 정도의 양성률을 보인다”며 “이 점을 감안하더라도 지난 주말의 수치는 다소 높았다”고 평가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가리지 않는 신규 감염 양상도 불안요소로 지목됐다. 이날 강원도와 충남에서는 각각 1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다. 특히 강원도 원주에서는 의료기기 판매 업체와 관련해 지난 6일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총 16명의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다. 서울 강서구 보험사, 경기도 군포 의료기관 및 안양 요양시설 등 기존의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도 늘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신규 확진 양상을 지역감염 확산의 징후로 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김탁 교수는 “언제든 전국적 유행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최근 대응 강도가 낮아진 만큼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의식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 가능성을 언급하며 방역수칙 준수를 재차 강조했다. 최근 증가 추세인 산발적 소규모 집단감염은 감염원을 규명하기 어렵고 환자 수에 비해 조치해야 하는 범위도 넓어 대응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는 10일 감염병예방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해 방역수칙을 반복적으로 위반하는 시설에 운영정지 등을 내리기로 했다. 1차 위반 시에는 경고, 2·3차 위반 시에는 각각 10일과 20일의 운영정지 처분이 가능해진다. 해당 개정안에는 확진자의 성별·나이 등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과 ‘코로나 블루’와 관련해 정부의 심리지원을 받는 대상을 규정하는 내용 등도 포함됐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