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최근 ‘서울시 재도약 특위’(가칭)를 비밀리에 구성하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필승전략을 짜기에 나섰다. ‘박원순 10년 정책’에 대한 실책을 부각하고 구 단위별 맞춤 공약을 발굴하는 것이 특위가 생각하는 필승 전략이다.
특위는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내 한 회의실에서 모임을 갖고 늦은 밤까지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 참석자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대표적 정책인 청년주택이 주변 원룸보다 가격 이점이 없다는 통계를 발표하자 다른 참석자들은 시장 공급 확대와 청년 대출 제도 마련 등 다양한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40여명 국민의힘 ‘서울 전문가’들은 매주 모여 청년주택 뿐 아니라 서울시정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로 머리를 맞대고 있다.
특위 위원장을 맡은 박성중 국민의힘 서울시당 위원장은 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박 전 시장의 지난 10년 정책을 되짚어보고 우리는 어떻게 서울시를 재도약시킬 수 있을지 전략을 논의하고자 특위가 가동됐다”며 “서울시를 세계 어느 도시와도 경쟁할 수 있는 도시로 만드는 것이 특위의 목표”라고 말했다.
서울 전·현직 국회의원, 당협위원장, 광역 기초의회 의원들과 서울시정에 밝은 박사급 전문가 등이 꾸준히 특위에 참석하고 있다. 매주 각 구 단위별 또는 정책 현안에 따른 특별 초청인까지 합하면 특위 참석 인원은 100명이 넘는다. 최근에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특위에 참석해 자신의 서울시정 경험을 전수하기도 했다. 당내 서울시장 후보군인 김성태 나경원 이혜훈 전 의원, 오신환 의원 등의 측근들도 두루 특위에 참여 중이다.
특위는 재보궐선거 경선 규칙이 발표되는 오는 20일 이후 공개될 예정이다. 4·7 재보궐선거 경선준비위원회 등을 통해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등 당 지도부와도 공개 일정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위는 향후 어떤 인물이 서울시장 후보 경선을 통과하더라도 계파에 상관없이 선거를 도와 승리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겠다는 ‘원팀’ 전략을 방침으로 세웠다.
또 특위는 최근 모임 횟수를 일주일 두 차례로 늘리고 구 단위별 지역 맞춤형 선거 공약 개발과 유권자 지형 빅데이터 분석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 전 시장의 정책 실책에 대해서는 10대 정책 과제로 정리해 발표하기로 했다. 부동산값 폭등과 정부의 재산세 강화는 물론 중복 복지 정책으로 인한 예산 낭비, 복지 포퓰리즘, 도시 계획사업 실책, 세종시 수도 이전 등 현안이 두루 담길 예정이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