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전남도 광역협력사업 추진…통합 논의 후속조치

입력 2020-11-08 14:57

광주시와 전남도가 초광역 협력사업을 발굴해 추진한다. 시·도 행정통합 논의 일정을 합의·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내년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 의제로 ‘초광역 협력사업 발굴’을 포함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달 27일 전남도청에서 1년여 만에 실무회의를 갖고 공동 현안을 논의한 상생발전위원회는 단계적 행정통합에 앞서 상생 협력을 구체화하기 위해 상징적 초광역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한다는 데 공감했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공동 출자한 광주전남연구원은 이에 따라 ’광주·전남·북 웰에이징 휴먼헬스케어밸리 조성’, ‘광주·전남 영산강 유역문화권 개발’, 광주·전남 에그리텍 융합 사이언스파크 조성’ 등 3개 사업을 초광역 협력사업으로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제안했다.

두 지자체의 자원과 인력을 활용해 상생발전을 꾀하고 지역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광주전남연구원은 광주와 여수·순천·광양 등 전남 동부권을 연결하는 광역철도·도로망과 함께 자동차, 철강, 에너지, 화학 등 다양한 기간산업 육성과 융복합 협력방안을 발굴해 광주시와 전남도에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와 인근 나주시, 화순군, 담양군, 장성군, 함평군 등 전남 5개 지자체도 시·도 통합 논의에 발맞춰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이들은 ‘2040 광주권 광역도시계획’ 수립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혐오시설을 포함한 광역시설의 효율적 기능분담 설정과 조직 체계화 방안 등을 향후 논의하기로 했다.

그동안 행정구역 단위로 분절된 도시기능을 묶어 광역권 차원에서 상호 협력한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2040년을 목표로 한 제5차 국토종합계획 대도시권 공간구조 전략을 바탕으로 광주권의 비전을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앞서 지난 2일 민간중심 추진, 공론화위원회 구성, 연방제 수준 지방분권제도 개선, 현재 시·도청의 현재 위치 기능 유지 등을 골자로 한 6개 항의 ‘광주·전남 행정통합 논의를 위한 합의문’을 발표했다.

시·도는 광주전남연구원이 통합 내용과 방법, 절차 등 제반사항에 관한 연구용역을 1년 동안 진행하도록 했다. 이후 준비 기간 6개월을 거쳐 시·도 각계 인사들로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1986년 광주의 직할시 승격에 따라 분리됐다. 시·도가 통합하면 인구 330만 명의 초광역 지자체가 탄생하게 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천문학적 예산을 전제로 한 초광역 협력사업은 시·도 통합과 국토균형발전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