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동부환경기술인협회가 경북 포항철강공단 내 산업폐기물 처리에 대한 당국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8일 포항시와 경북동부환경기술인협회(이하 협회) 등에 따르면 포항철강공단 내 300여개 업체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은 월평균 2~3만t으로 포항지역 2개 폐기물업체의 잔여 매립용량은 70만㎥ 정도로 향후 3~4년이면 포화 상태를 이를 전망이다.
이에 협회는 지난 6일 포항철강공단 내 2개 폐기물처리 사업장의 폐기물처리시설 증설에 대한 의견서를 포항시와 대구지방환경청에 제출했다.
협회는 의견서를 통해 현재 폐기물처리시설 부족으로 인한 산업폐기물 대란을 우려하며 환경기술인들의 입장과 요구사항을 밝혔다.
협회는 “3~4년 후 영남권 전체가 산업폐기물 대란이 일어날 위기에 처해있다”면서 “매립장을 조성하는데 통상 3~4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 즉시 행정적인 절차를 마련하지 않으면 폐기물 대란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특히 환경부의 ‘폐기물 발생지 처리 원칙’의 입법화에 대비한 대책마련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최근 국회에서도 ‘폐기물 발생지 처리원칙’을 골자로 하는 법안 발의가 이어지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의 안정적인 처리시설은 필수불가결이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철강공단 내 공장들이 폐기물을 처리하지 못해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최근 환경부가 주민 민원을 이유로 법령에 근거 없이 조례나 지침으로 산업폐기물 처리시설 인허가를 제한하지 말 것을 자치단체에 요청한 것도 폐기물 발생지 처리원칙과 맥을 같이 한다”면서 “최종처리업체도 수익이 아닌 지역 발생폐기물의 안정적 처리와 가격 안정에 반드시 동참해 달라”고 촉구했다.
경북동부환경기술인협회는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비롯한 포항철강공단 입주업체와 경북동부지역 기업 130곳의 환경기술인들이 모여 활동하는 단체다.
한편, 포항철강공단 내 폐기물처리업체인 네이처이앤티와 에코시스템이 매립장의 안정화와 지역기업의 안정적인 폐기물처리를 위해 신규 매립장 확보와 재정비를 추진하면서 인근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