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장시간 노동이 부른 택배노동자들의 죽음이 잇따르는 가운데 과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분류작업’을 두고 CJ대한통운 등이 밝힌 추가 인력 투입 약속이 헛구호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대책위)는 5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J대한통운은 비용 부담 전가로 국민을 속이고 택배노동자를 기만하고 있다”고 밝혔다. CJ대한통운이 분류작업 인력 투입 비용을 대리점과 택배노동자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사측은 지난달 22일 사실상 무임금으로 이뤄지는 분류작업 지원을 위해 4000명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이 때문에 택배기사들이 받는 건당 수수료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대책위가 전국 각 대리점 사례를 살펴본 결과 약속은 거짓이었다. CJ대한통운 본사는 지난주 지역별 대리점에 ‘본사가 추가비용 50%를 지원할 테니 나머지 50%는 대리점 내에서 협의해 진행하라’고 통보했다. 회사로부터 ‘50% 비용’을 떠안은 대리점 중 택배기사와 비용을 3대 2로 나누거나 아예 전부를 떠넘기는 경우도 있었다는 게 대책위 설명이다. 특히 노조에 가입한 택배노동자가 적거나 없는 대리점일수록 기사들에게 비용을 떠넘기는 상황은 심각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책위는 “택배사들은 이달부터 분류작업 인력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지만 5일이 지난 현재도 아무런 인력 투입이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인력 투입이 늦어지는 이유 역시 본사의 비용 부담 떠넘기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현재 전남과 경남 등 일부 군 단위 대리점에는 분류인력 투입 계획 자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