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대선 ‘예의주시’…방위비분담금, 북·미 협상 주목

입력 2020-11-04 17:05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현지시간) 테네시주 내슈빌의 벨몬트 대학에서 열린 대선후보 마지막 TV 토론회에서 공방을 벌이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는 3일(현지시간) 진행된 미국 대통령 선거 대표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외교부와 통일부, 국방부 등 외교안보 부처는 4일 아침부터 미 대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중 누가 승리할지 판세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외교부는 최종건 1차관을 팀장으로 한 미국 대선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주요 경합 주의 개표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워싱턴에 위치한 주미 대사관에서도 수시로 대선 동향을 보고하고 있다. 북미국과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등 관련 부서의 일부 인원은 밤새 개표 상황을 챙긴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선 결과에 따라 북핵문제는 물론 방위비 분담금 협상 등 외교 현안들이 적잖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외교부는 바이든 전 대통령이 압승하리라는 일각의 예측과는 달리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경합지에서 앞서나가면서 최종 승자 확정에 시간이 걸릴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개표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 장관은 대선 직후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함께 워싱턴을 방문할 계획이다.

국방부 역시 접전 양상을 보이는 미 대선 개표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한·미 양국 간에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등 여러 국방 현안이 산적해 있다. 군 당국은 주요 이슈에 대해 시나리오별 대응 방향을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북·미협상의 장기 교착 국면에서 북한이 미 대선 직후 도발할 가능성도 주시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북한의 특이 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도 미국 대선 개표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지켜보고 있다. 통일부는 별도의 TF를 구성하지 않았다. 다만 통일·대북정책을 수립하는 ‘통일정책실’과 북한 동향과 주변 정세를 분석하는 ‘정세분석국’이 주축이 돼 미 대선 결과에 따른 정책적 대응을 준비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이날 판문점 견학 지원센터 개소식에서 “정부로서는 어떤 상황이 되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착실하게 진척시킬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며 “미국의 대선 결과가 새로운 정세의 시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런 측면을 주목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