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9월 발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과 관련해 재조사를 지시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국가정보원이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3일 서울 서초구 국정원 청사에서 진행된 국정감사 브리핑에서 “첩보상 시신 수색 정황이 있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지난 9월 25일 우리 정부에 보낸 통지문에서 사건 전말에 대한 자체 조사 결과를 소개했었다. 김 의원은 ‘김 위원장의 지시는 통지문 외에 새롭게 재조사하라는 지시인가’라는 질문에 “저희가 이해하기로는 그렇게 이해했다”고 답했다.
국정원은 피살 공무원의 월북 여부와 시신 소각 여부에 대해 “기존 국방부 입장과 동일하다”며 “북한 통신망이 우리 언론에 노출돼 통신망 이용량이 줄었다. 교신할 때 쓰는 은어체계가 좀 변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이날 국방정보본부가 전날 국감에서 북한군이 희생자 시신을 태운 정황이 여러 개라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진 것에 대해 새로운 정황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피살 경위를 확인하기 위해 유가족들이 신청한 정보공개 요청을 거부했다고 이날 밝혔다. 앞서 유가족들은 ‘자진 월북’이라는 정부의 조사 결과에 반발해 지난달 6일 북한군 대화 감청 녹음 파일과 녹화 파일 등에 대한 정보공개를 청구했다.
국정원은 또 김 위원장이 ‘대원수’로 격상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지금까지 대원수 칭호를 받은 사람은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북방위원장뿐이다. 김 위원장 건강에 대해서는 2012년 8월 90㎏에서 매년 6~7㎏ 쪄 지금은 140㎏이라고 설명했다. 나이가 젊어 건강엔 큰 문제가 없는 상태다.
최근 공개 행사 노출 빈도가 급격히 줄어든 김여정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외교안보 총괄을 맡아 국정 전반에 관여하고 있다”며 “2개월간 김 위원장 수행을 중단했는데 이때 방역, 수해 등을 관장했다. 내년 8차 당 대회 때 당 직책을 부여받을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국정원은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최근 공개 활동이 없으나 미국 대선 후의 대미 정책 수립에 전념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일각에서 제기된 강제노역설을 일축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