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에 따른 증시 영향은…“트럼프 불복 시 변동성 확대”

입력 2020-11-03 17:06

미국 대선이 3일(현지시간) 치러진 가운데 글로벌과 국내 증시는 어떤 영향을 받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선 결과가 확정되면 시장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되겠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불복을 시사한 상황이라 증시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

시장에서는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압승하고, 민주당이 상·하원도 장악하는 ‘블루 웨이브(Blue wave)’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대규모 재정 투입을 주장하는 민주당이 집권하면 경기부양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이든 후보는 4년간 친환경 산업에 투자하는 2조 달러 규모의 부양안을 제시한 바 있다.

블룸버그가 개발한 바이든 후보 당선 시 수혜주 30개를 추종하는 이른바 ‘바이든 지수’는 지난 6월부터 계속 올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지수 대비 24% 포인트 가량 높은 상황이다. 바이든 후보 승리를 예상하는 투자자가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이 지수에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태양광업체 선런, 재생에너지 업체 넥스트라에라 에너지 등이 담겼다.

다만 바이든 후보의 세금 인상 정책은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바이든 후보는 법인세 최고 세율을 현행 21%에서 28%로 높이고, 개인소득세의 경우 39.6%로 재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월가에선 이같은 조세 정책이 현실화되면, S&P500 기업의 주당순이익(EPS)은 5~9%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경제 정책의 연속성은 보장되겠지만, 추가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가 당선되고, 민주당의 하원 장악이 지속되면 부양책 통과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가장 큰 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불복 가능성이다. 2000년 미 대선 당시 플로리다주 재검표 논란 때도 유사한 혼란이 있었다. 당시 대선일부터 35일간 나스닥 지수는 14% 가량 떨어졌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과거 사례를 비춰볼 때 불복 상황이 발생하면 대통령 확정 때까지 증시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소요 사태까지 일어날 경우 시장 전개 방향은 예측 불가”라고 했다.

이날 김태현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미 대선 결과와 경기부양책 규모의 불확실성 등이 있는 만큼 금융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며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