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부터 격리 입원… 확진 수험생 780여명 수능 응시 가능

입력 2020-11-03 15:2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수험생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격리 시험실 780여개가 만들어진다. 1인 1실 기준으로 확진 수험생 780명이 응시 가능하도록 준비된다. 확진 수험생은 수능 3주 전부터 별도 관리를 받으면서 시험 준비를 하며, 수능 1주일 전부터는 전체 고교와 시험장 학교를 원격수업으로 전환한다.

교육부는 3일 이런 내용의 ‘2021학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을 발표했다. 매년 수능을 앞두고 발표하는 내용에서 코로나19 대응 방안이 추가됐다. 정부는 수험생이 확진 판정을 받더라도 수능 응시기회를 줄 방침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등과 영상 간담회를 갖고 “철저한 방역 관리를 통해 시험에서의 수험생 감염 위험과 지역사회 감염 확산 위험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시험의 중요도를 고려해 격리자·확진자를 포함한 모든 수험생의 수능 응시 기회를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국 86개 시험지구마다 1~2개씩 모두 113개의 격리 수험생 대상 별도 시험장을 마련한다. 거점 병원과 생활치료센터가 시험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113개 시험장 안에는 780여개 시험실이 준비된다. 1인 1실 기준으로 780여명까지 수능 응시가 가능하다. 교육부 관계자는 “1인 1실로 수능을 보도록 할 계획이나 부족하면 시·도교육청과 협의해 추가로 시험실을 확보하거나, 충분한 거리를 띄워 1인 2실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능을 치를 병원과 생활치료센터에 수험 환경을 조성해 수능 3주 전인 오는 12일부터 확진 수험생을 입원시킬 방침이다. 수능 전 완치 판정을 받을 경우 일반 수험생과 시험을 치를 수 있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시험장 방역 조처를 할 수 있도록 수능 시행일 일주일 전인 오는 26일부터 전체 고교와 시험장 학교는 원격 수업으로 전환한다. 격리자·확진자 시험 감독관에게는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지원할 방침이다.

나머지 수능 대책은 예년과 대동소이하다. 수능 당일 차량 소통이 원활하도록 시군 지역 관공서와 기업체 등의 출근 시간을 오전 9시에서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한다. 시험장 근처에 군부대가 있는 경우 수험생 등교 시간(오전 6시∼오전 8시10분)에 군부대 이동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한다. 전철, 지하철, 열차 등의 출근 혼잡 운행 시간이 2시간(오전 7∼9시)에서 4시간(오전 6~10시)으로 연장돼 증차 편성된다.

시내버스·마을버스 배차 간격도 단축되고, 개인택시 부제도 해제돼 지하철역, 버스 정류소와 시험장 사이를 집중 운행한다. 영어 영역 듣기 평가 시간(오후 1시10분∼오후 1시35분)에는 항공기 이착륙, 포 사격 등 군사훈련도 금지된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수능이 12월로 연기돼 치러지므로 폭설이나 한파에 대비한 대책을 더욱 촘촘히 마련할 계획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