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세종시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광역거점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광역경제권’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 도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광역교통시스템 개선을 공동 추진하게 된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이춘희 세종시장은 3일 오전 세종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0년 대전·세종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2015년 체결한 1차 협약의 협력과제가 대부분 완료되고, 4차 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의 강점과 행정수도로서 세종의 지리적 이점을 융합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2월부터 공동협력 사업을 발굴한 양 도시는 교통 및 경제·산업, 문화·관광, 교육, 안전, 자치행정 등 6개 분야 32개 협력과제를 선정했다.
주요 협약사항은 협력관계 구축·유지를 위한 정기 정책간담회 개최, 충청권 혁신성장의 거점인 경제자유구역 지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공조체계 강화 등이다.
편리한 교통 및 교류확대를 위한 철도교통망 구축, 광역버스노선 확대, 대안도로 개발 등 광역교통시스템 구축에도 힘을 모은다.
여기에 시민화합을 위해 각종 교육·행사와 문화교류를 실시하고,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안전연구센터 통합 및 미세먼지 감시단도 공동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양 도시는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을 통한 광역경제권역 형성, 철도교통망 구축 및 광역교통시스템 개선에 대한 사업에도 집중한다.
광역경제권 형성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는 광역 철도교통망 구축이 꼽혔다. 이를 위해 양 시장은 ‘대전도시철도 1호선 세종 연결사업’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되도록 정부에 건의하는 공동건의문에도 서명했다.
내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되는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 사업은 두 도시의 접경지역을 복합도시로 개발, 산업·물류 및 수도권 공공기관 입주를 유도하는 것이 골자다.
이곳에는 대전의 바이오메디컬·ICT, 세종의 디지털헬스케어·자율주행차 등 두 도시의 특화분야 융합을 위한 산업지구를 지정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미 공동 생활권을 형성한 대전과 세종은 행정수도의 실질적 완성과 국가 균형발전의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운명 공동체”라며 “대전과 세종을 넘어 충청권의 활기찬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세종시와 대전시가 광역경제권역을 형성해 충청권 거점도시로 동반성장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수도권 과밀 해소 등 국가균형발전을 충청권이 선도하고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