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대학교가 민주공영대학으로 거듭난다. 학교법인 상지학원과 상지대는 3일 오전 강원도 원주시 대학 본관 대강당과 광장에서 ‘민주공영대학 출범 선포식’을 가졌다.
민주공영대학은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인 공영형 사립대학보다 진일보한 대학혁신 구상이다. 이사회가 공익적 인사로 구성되고, 구성원과의 협의에 기초해 대학을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면서 지역·시민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을 의미한다.
선포식은 민주공영대학 선언, 구성원 의지 표명, 민주공영대학 석조물과 만인탑(萬人塔) 제막식 등으로 진행됐다. 상지대는 선언문에서 “대학 구성원은 사학비리에 맞서 굴하지 않고 싸워 마침내 민주화를 쟁취했다”며 “폐쇄적인 상아탑을 넘어 대학을 사회에 개방해 대학과 지역의 상생 발전을 추구하는 지역거점 명문사학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상지대는 이날 선포식을 시작으로 민주참여, 교육혁신, 사회협력, 재정혁신, 학생행복 등 5대 목표 20대 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20대 과제는 부패와 비리가 없는 대학, 등록금 의존도가 가장 낮은 대학, 학생 교육비 부담을 최소화하는 대학,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대학 등이다.
정대화 상지대 총장은 “민주공영대학은 국내 최초의 공영형 사립대학으로서 새로운 대학발전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민주주의와 정의의 가치를 가르치고,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가르치는 대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지대는 1993년 사학비리로 상지학원 이사장에서 물러난 김문기씨가 2014년 총장으로 복귀하면서 학내분규를 겪었다. 2004년 김씨는 ‘상지대 정이사 체제 전환을 무효로 해달라’는 소송을 냈고, 2007년 대법원이 김씨 손을 들어줬다.
이후 2010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김씨 쪽에 과반수 추천권을 주면서 김씨는 이사회를 장악했다. 이때부터 상지대 학내 분쟁이 촉발됐고 2014년 김씨가 총장으로 복귀하면서 학내 갈등이 더욱 커졌다.
하지만 2016년 10월 대법원이 ‘2010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이사 선임이 위법하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상지대 민주화 투쟁이 마무리됐다. 이후 상지대는 2018년 직선제를 통해 정대화 교수를 총장으로 선출했다.
원주=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