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연구팀이 지난 8월 콘서트장에서 진행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실험에서 팬데믹 와중에도 대규모 실내 행사가 가능하다는 1차 결론이 나왔다. 다만 적절한 환기와 마스크 착용 등 기본 방역 수칙을 철저하게 지킨다는 단서가 붙었다.
‘리스타트19’라는 이름의 이 실험은 지난 8월 22일(현지시간) 독일 마르틴루터 할레 의과대학 연구원들이 진행했다. 콘서트 등 대형 실내 행사에서 바이러스 확산 위험도를 가늠하기 위해서다. 코로나19 시대 문화 공연의 지속가능성을 타진하는 첫 대규모 실험이라는 점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작센 안할트 주정부가 90만 유로(약 14억원)을 지원한 이 실험에는 18~50세 사이의 건강한 지원자 2000여명이 참여했다. 실험은 총 세 차례 참가자들 모두 마스크를 쓴 채 방역 수칙에 차이를 둬 이뤄졌다. 첫 콘서트는 팬데믹 이전 방식대로 아무 방역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진행됐으며 두 번째는 관객마다 약간의 사회적 거리두기와 기본적 위생 수칙을 준수하도록 했다. 세 번째는 입장객 수를 절반으로 줄이고 1.5m 간격을 둬 스탠딩 공연으로 개최했다. 참가자는 사전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으며 발열 체크도 진행됐다.
바이러스 전파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가상 시뮬레이션에는 코로나19 감염자 24명이 참석한 것으로 설정했다. 결론은 마스크 착용 등 핵심 방역 요소만 갖춰진다면 바이러스 속에서도 대규모 콘서트 등을 열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스테판 모리츠 박사는 “공연 이후 참석자를 추적한 결과 새 감염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면서 “모든 참가자 간에 접촉이 일어나는 건 아니라는 연구가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독일만이 아니라 비슷한 상황에 부닥친 다른 국가의 문화계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독일은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빠르게 확산하는 코로나19를 막으려는 방편으로 약 1개월가량 봉쇄령을 내리면서 크고 작은 행사들이 줄줄이 취소된 상황이다.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행사를 열기 위한 핵심 방역 요소들을 제시했다. 먼저 행사장 수용 인원보다 적은 인원이 참석해야 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불가능한 스탠딩 콘서트는 열지 말아야 한다. 음식물 섭취는 좌석에서만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 줄이 늘어서는 것을 막기 위해 출입구도 많이 만드는 게 좋다. 여기서 대전제는 개별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환기 시스템을 철저히 마련하는 것이다.
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