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숙원 사업이었던 남구 캠프워커(미군기지) 헬기장 부지 반환이 최종 절차만 남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소음 등으로 고통 받던 주민들의 민원 해결은 물론 지역 개발 기회도 가질 수 있게 됐다.
3일 곽상도 국민의힘 국회의원(대구 중·남)에 따르면 지난달 말 헬기장 부지 반환 논의가 반환 절차의 마지막 단계인 소파(SOFA·한미행정협정) 특별합동위(외교부)로 이관됐다. 최종 반환은 특별합동위 승인으로 결정된다. 특별합동위는 다음 달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구시와 국방부, 주한미군 측은 지난해 6월 캠프헨리 대구사령부 회의실에서 소파 실무협의를 열고 헬기장 부지 반환을 확정한 뒤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했다. 환경영향평가가 완료 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7월부터 환경오염 치유 비용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헬기장 부지를 포함한 캠프워커는 6·25전쟁 당시 대구에 주둔했다. 헬기장 부지의 경우 2002년 한국 내 미군 공여지 통·폐합을 결정하는 연합토지관리계획에 포함돼 반환이 결정됐다. 하지만 세부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17년간 지연되다가 지난해 반환이 확정돼 절차를 밟아왔다.
반환 부지에는 대구를 대표하는 ‘대구도서관’(조감도)이 들어설 예정이다. 498억원(국비 255억원 포함)이 투입되는 도서관은 헬기장 반환부지에 연면적 1만4953㎡,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건설될 계획이다. 개관 목표는 2022년으로 잡았지만 일정에 따라 공사기간이 더 길어질 수도 있다. 대구시는 도서관과 함께 대구평화공원도 만들어 이 일대를 지역 명소로 만들 방침이다. 도서관과 공원지하에는 300면 정도의 공영주차장도 만들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헬기장 부지 반환이 이뤄지면 그동안 소음 등으로 고생한 주민들의 생활여건이 개선되는 것은 물론 도서관과 공원 조성으로 지역 문화 인프라가 확장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며 “남은 절차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치권, 기초단체, 정부 등과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