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투표일이 코앞에 다가온 3일 우리 정부도 투표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현장투표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막판 뒤집기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지난 8월 최종건 1차관 주재로 미 대선 대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외교부는 관련 사안을 수시로 점검하고 협의하는 한편 미국지역 재외공관별로 대선 담당관을 지정해 대선 동향과 공관별 조치사항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 및 사전투표 결과 등을 토대로 연일 판세 분석 중인 외교부는 바이든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크다는 데에 대체로 의견을 같이하면서도 2016년 대선의 경험을 떠올리며 트럼프 대통령의 역전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외교부는 2016년 대선 여론조사에서 문제로 지적된 저학력 유권자의 과소대표, 부동층 선택의 여론조사 미반영 등이 올해 여론조사에서 상당 부분 개선됐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추격 속도, 공화당 지지자의 현장투표 참여율이란 변수가 남아 있어 바이든 후보의 승리를 쉽게 예단하지 않고 있다.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등록유권자 수의 비율이 민주당원의 경우 4년 전보다 1.4% 감소한 반면 공화당원은 1.9% 증가했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할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하면 내각 구성이나 정책 기조 등 큰 틀에서 변화가 없지만 바이든 후보로 정권이 교체되면 정부는 새롭게 세팅되는 미 행정부에 맞춰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 특히 우리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외교안보 정책에서 양 후보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외교부는 이 분야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동맹, 파트너와의 공조를 중요시하는 바이든 후보는 중국, 러시아 등 경쟁세력에 대응할 때도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 못지않게 대중 압박 전선 참여를 강하게 촉구할 수 있다.
북·미 관계에선 지도자 결정 중심의 ‘톱다운’을 한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후보는 실무협상 중심의 ‘보텀업’ 방식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은 북한인권 문제도 중시하기 때문에 북·미 관계 개선이 트럼프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될 수 있다. 외교정책 우선순위도 코로나19 사태 대응, 백신 개발, 경기 회복 등에서의 국제공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대북 정책이 뒤로 밀릴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바이든 후보의 당선 가능성에 대비해 바이든 측과의 접촉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후보의 외곽 자문그룹이나 버락 오바마 정권에 몸담았던 인사를 중심으로 접촉하는 동시에 바이든 정권의 내각 구성원도 조심스레 예측하고 있다.
정부는 어떤 행정부가 출범하든지 북·미 관계, 한·미 관계의 긴밀한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대선 이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내년 1월 19일까지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