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재생에너지 전력망 확충에 나섰다. 내년까지 원자로 3기 분량의 신재생에너지 접속망을 갖추는 등 ‘시스템’ 구축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전력은 2일 전력 그리드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는 재생에너지 특별대책 전담조직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접속이 지연된 곳에 송전망을 건설하고 매월 김종갑 한전 사장이 이를 점검하는 등 에너지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정부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20%로 높이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 등을 발표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는 늘었지만 정작 이를 각 가정에 전달하는 설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계속됐다. 특히 재생에너지는 송배전 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농어촌 지역에 주로 몰려 있어 문제가 심화됐다.
한전은 내년까지 접속지연의 75%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2016년 10월 1㎿ 이하 재생에너지 접속보장 정책 이후 지난달 말까지 누적 재생에너지 설비는 14.4기가와트(GW)에 달했지만 이 중 30%에 달하는 4.2GW가 접속대기 상태였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했지만 계통에 접속이 어려워 전기를 송배전 하지 못하는 민간 사업자가 3명 중 1명이었던 셈이다.
한국전력은 2017년부터 올해 10월까지 배전선로 175회선, 변압기 61대, 변전소 1곳을 확충해 5.3GW의 전력망을 확충해왔다. 이번 전담조직 신설로 속도를 높여 내년까지 설비망 보강, 선로 신설 등을 통해 3.2GW를 보강할 계획이다. 이는 1GW 원전로 3기에 해당하는 전력량이다.
잔여 1GW 확충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변전소 1곳을 건설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6년의 기간이 걸린다. 한전은 건설 기간을 절반 수준인 3년으로 단축하고 배전선로 접속 허용 용량을 10㎿에서 12㎿로 상향해 남은 1GW 확충도 신속하게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접속신청이 예상되는 지역에 송배전설비를 미리 건설하는 등 선제적으로 계통도 보강한다. 공사 기간 단축이 가능한 분산형 소규모·소용량 전력설비를 신재생발전소 인근에 설치해 적기 접속도 추진한다. .
사업자가 원하는 수준까지 망 정보도 공개한다. 현재는 한전 홈페이지 ‘여유정보 공개시스템’에서 지역별 설비 여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전은 내년 7월부터는 미래 전력망 투자계획을 반영한 여유정보, 접속가능 시기 등 가능한 모든 정보를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