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지사가 일본 매체에 한·일 양국이 “공존공영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차기 대권 주자로서 대일 관계에서도 분명한 자기 목소리를 낸 것이다.
이 지사는 2일자 도쿄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자신이 일본에 “적대적이라고 하는 시각이 있지만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한·일은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무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조심성 많고 이웃을 배려하는 일본인의 모습은 훌륭하지만, 일본의 일부 정치인이 군국주의·팽창주의적 사고를 하고 있다”며 정치외교와 경제사회 문제를 구분해야 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그는 한·일이 첨예하게 대립 중인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선 “사람이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의 길이 있을 것”이라며 서로의 용기와 결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한국에는 삼권분립 원칙이 있다”며 일본 피고 기업에 배상을 명령한 한국 대법원 판결에 정치가 개입할 수 없는 점을 일본 측이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가 문제를 해결하라는 스가 요시히데 내각의 주장에 선을 그은 것이다.
이 지사는 일본이 지난해 7월부터 시행한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수출 규제를 놓고는 “(한국 기업에) 일부 고통을 주는 효과가 있었지만 일본 기업도 손해를 봤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에 진출하고 싶은 일본 기업이 있으면 정치적 이유로 막는 일 없이 받아들였다. 한국의 고용과 경제도 활성화되기 때문”이라며 한·일 양국은 함께 이기는 윈윈의 길을 찾아 관계개선으로 나가야 한다는 소신을 밝혔다.
이 지사는 답보 상태인 남북 관계에 대해선 유럽의 경제·평화·안보 공동체 같은 동북아 전체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그는 “남북한과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가 적대하지 않고 서로 돕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모두의 이익이 되지 않겠는가”라며 비핵화 협상에서 한국 정부가 인내심을 갖고 북·미가 합의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지원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지사는 차기 대선 유력 주자로 거론된다는 질문에 “대선까지 약 1년 반이나 남았다. 정치계에선 매우 긴 시간”이라며 “민심은 한순간에 변한다. (차기 대선 때까지) 민심을 잡는 노력을 하기보다는 공직자로서 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돈 있고 언론에 영향력 있는 정치인은 가능한 한 직접적인 발언을 피한다”며 이해득실을 따지지 않고 국민 눈높이에서 얘기하는 것이 공감을 사는 것 같다며 자신의 인기 배경을 밝히기도 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