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전국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 (채용에서) 지방 대학 출신자를 50%까지 뽑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역차별’ 논란이 커지고 있다. 현재 공기업은 출신 대학을 보지 않고 능력으로만 신입을 뽑는 블라인드를 채용하고 있고, 지방 출신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전형이 이미 있는 곳도 많다는 주장도 나온다. 결국 이 대표의 말대로 혁신도시 공기업 50% 지방할당이 현실화되면 제2의 인천국제공항공사 사태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1일 이 대표를 향해 “공정은 아예 쓰레기통에 내버렸나”라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공정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집권당의 대표마저 노골적인 차별 정책을 주장하니 충격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하 의원은 “제2의 인국공 사태”라며 “공공기관은 청년들에게 꿈의 일자리다. 인국공 사태를 겪고도 배우지 못했는지 참 답답하다”고 했다. 이어 “50% 할당제는 모든 공공기관을 인국공으로 만들겠다는 것으로 절대 용인할 수 없다”며 “지방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수도권 대학에 입학한 청년들은 심각한 역차별을 받는다. 반드시 막겠다”라고 다짐했다.
앞서 이낙연 대표는 지난 30일 전북 부안군청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문재인정부 임기 말까지 혁신도시에 입주한 공공기관이 있는 그 지방의 대학 출신자를 30% 뽑는 걸 목표로 하는데, 거기에 20%를 더 얹어서 다른 지역 지방대 출신도 뽑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전체 50% 중 30%는 공공기관이 있는 해당 지역의 지방대 출신을, 나머지 20%는 다른 지역의 지방대 출신으로 채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분들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몇 년 후부터 실시한다는 조건을 붙여서 하위직 공무원 지방할당제도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정부 들어 공공기관의 지역인재(지방대 출신) 채용은 증가 추세다.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369개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현황’을 보면 2017년 1만1922명 수준이던 지역인재 채용은 지난해 1만9720명 수준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취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출신 취업준비생 사이에서는 ‘역차별’이라는 반발도 적지 않다. 공기업 준비 카페에는 “학벌, 학점 없이 블라인드로 경쟁하기로 하면서 왜 (지방대) 가점을 줘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드나”라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