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이 이렇게 멀어서야”…서귀포시 ‘민관협력의원’ 전국 첫 추진

입력 2020-11-01 12:39 수정 2020-11-01 12:53
서귀포시가 병원까지 거리가 먼 읍면지역 거주자들을 위해 365일 늦은 시간까지 문을 여는 민관협력의원을 개원한다. 사진은 지난 3월 하논 분화구 상공에서 바라본 서귀포시 신시가지의 모습. 연합뉴스

병원이 밀집한 시내로 이동이 쉽지 않은 읍면지역 거주자들을 위해 제주 서귀포시가 민관협력의원을 개원한다. 행정이 시설비를 투자하고 그 시설에 민간 의료진이 입주해 일정기간 운영하는 형태로,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독립채산제 방식의 병원이 운영되는 것은 제주가 처음이다.

서귀포시는 의료 취약지 야간·휴일 진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민관협력의원 유치사업을 전국 최초로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서귀포시 ‘의료안전망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41억 3000만원을 투입해 내년 1월 착공한다.

시가 부지, 건축, 고가 의료장비 등 기반시설을 설치·소유하고, 전국 공모를 통해 선정된 의사(약사)에 장기 임대하는 방식이다.

임대 기간 민간 의원(약사)은 야간·휴일 진료를 포함한 365일 상시 진료 조건을 지켜야 한다. 환자 수익은 전부 민간이 가져간다.

시는 내년 상반기 조례 제정 후 하반기 민간 의료진 공모에 들어갈 예정이다.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지역에 건설될 민관협력의원은 2층 규모로 2~3개의 진료과와 약국이 들어선다. X-선 장비, 초음파 진단기, 내시경 기기, 골밀도 측정기, 체지방 측정기 등의 고가 장비는 시가 지원한다.

제주에선 병·의원이 제주시 동지역에 밀집해 서귀포시 동·서부 읍면지역 거주자들은 병원을 찾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 있다.

경증 환자들이 야간 휴일 진료를 받기 위해 시내권 응급실로 몰리면서 중증 응급환자가 제때 진료를 받지 못 하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원희룡 제주지사는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의료취약지역 야간진료 체계 구축을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김태엽 서귀포시장은 “의료취약지 주민의 생명권이 걸린 중요한 사업”이라며 “전국 첫 도전인 만큼 사명감을 갖고 민·관·전문가와 협력 체계를 구성해 취약지 의료안전망 구축의 성공 모델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귀포시는 지난 28일 지역주민 대표와 의료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출범하고, 지역 인구 수, 의원 이용 진료권 특성, 응급의료기관과의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대정읍을 최종 대상지로 선정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