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차관 “한국, 화웨이 쓰면 정보 보호 타격”…배제 압박

입력 2020-11-01 09:53 수정 2020-11-01 09:59


미국이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과 관련해 개입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은 한국 정부의 결정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화웨이 장비를 계속 쓸 경우 정보 보호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우회적으로 배제를 압박하는 모습이다.

키스 크라크 미 국무부 차관은 국내 기업의 화웨이 제품 사용에 대한 정부의 불개입 방침에 “한국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지난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러면서도 “결국은 신뢰의 문제”라면서 “점점 더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개인정보와 고객정보, 지적재산권에 관해 누구를 신뢰할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국 공산당 감시의 근간인 화웨이 같은 회사는 분명히 (신뢰할) 대상이 아니다”면서 “화웨이 장비를 계속 사용한다면 정보 보호에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지난 14일 화상으로 열린 한·미 고위급 경제협의회에서 ‘화웨이 배제’를 요청했고, 한국은 이에 대해 “민간기업이 결정할 사항”이라는 기존 입장을 밝혔다.

크라크 차관은 스웨덴이 화웨이와 ZTE 장비 배제를 결정한 직후 중국이 보복 조치를 경고한 것을 언급하며 “한국도 과거에 이러한 보복을 경험했다. 미국은 동맹들과 함께 중국의 깡패질(China bully)에 맞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