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의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천 방침과 관련해 나서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 지사는 공천 문제가 처음 제기될 당시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난 7월에는 이 문제와 관련해 “아프고 손실이 크더라도 약속을 지키는 게 맞다. 장사꾼도 신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국민 석고대죄를 전제로 공천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지만, 유력 대권 주자의 발언인 만큼 정치권에서는 큰 반향이 일었다. 당내 논란이 커지자 “의견과 주장은 다르다”며 한발 물러섰다. 그러나 ‘공천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이 지사의 의견은 확고해 보였다.
그러나 이 지사는 지난 29일 민주당이 공천 여부와 관련해 전당원 투표를 하기로 결정한 뒤에는 말을 아꼈다. 지난 30일 경기북부지역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내 생각은 일관된다”면서도 “당원으로서 투표에 참여하고 당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원칙적인 답변을 내놨다.
최근 지지율 상승으로 이낙연 대표에 박빙 우세를 보이는 데다 공천이 불가피하다는 현실론이 당내 저류를 형성한 상황에서 굳이 당내 비판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선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22∼24일 전국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차기 대선 주자 적합도에서 이 지사는 23%, 이 대표는 20%를 기록했다.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 이내 20% 안팎 박스권이기는 하지만 이 지사가 앞섰다.
이 지사 측 관계자는 1일 “국회 밖에 있는 이 지사로서는 지금 맡고 있는 경기도에서 도정을 잘 해나가는 것 외에는 보여줄 수 있는 것이 없다”며 “정치적인 발언보다는 정책에 집중하겠다는 생각”이라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