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백신 10만건당 사망 0.4건…“인과성 매우 낮아”

입력 2020-10-29 16:20
사진=연합뉴스

올해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한 사람이 72명으로 늘어났다. 올해 예방접종에 사용된 백신 원액은 총 5개이며 접종건수 10만건당 사망신고는 0.4건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건당국은 현재까지 조사된 내용으로 볼 때 사망과 백신 접종 간의 인과성이 매우 낮다며 예방접종을 일정대로 계속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2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0∼2021 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시작한 이후 이날 0시까지 접종 후 며칠 이내에 사망한 것으로 신고된 사례는 총 72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6일 0시 기준으로 집계된 59명보다 13명 늘어난 것이다.

사망자의 연령을 보면 70대와 80대 이상이 각각 31명으로, 70대 이상이 86.1%를 차지했다. 이어 60대 미만이 8명, 60대 2명 등이었다.

사망 신고가 이뤄진 시기는 이달 19일까지는 1명이었지만 19일부터 25일까지 59명, 26일 이후 12명 등으로 나타나 만 70세 이상 어르신 무료접종이 이뤄진 시점에 집중됐다.

피해조사반은 이날 신속대응 회의를 열고 추가 사망 사례 중 25건에 대해 인과성 여부를 검토했다. 그 결과 25건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이로써 25일까지 확인된 46건에 더해 총 71건은 인과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1건은 조사가 진행 중으로 특이 사항은 확인되지 않았다.

피해조사반은 “검토한 사망사례 중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급격한 전신 면역 반응으로 인한 충격 증상)는 없었다”고 전했다. 같은 제조번호의 백신을 같은 날 맞은 접종자에게서 중증 이상반응이 나타난 사례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연합뉴스

신고된 사망사례와 관련된 백신은 총 4개 원액, 8개 제조회사의 42개 제조번호였다. 올해 예방접종에 사용된 백신 원액은 총 5개이며 접종 건수는 1639만9372건이다.

접종건수 10만건당 사망신고는 0.4건 수준인데 사망 사례가 신고된 4개 원액별로도 10만건당 사망신고 건수는 0.4~0.5건으로 확인돼 사망 사례가 특정 원액이나 제조사에 편중되지 않았다.

동일 백신 제조번호에서 2건 이상 사망 사례가 신고된 경우는 19건에서 총 48명이다. 그러나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는 중증 이상반응 사례가 발생하지 않아 재검정이나 사용 중지(봉인) 검토 조건에는 부합하지 않았다.

백신 유통과정, 접종기관과 사망 신고사례와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접종건수 대비 사망신고 건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사망자 중 동일 접종기관에서 접종한 사례는 없었고 특이 사항도 확인되지 않았다.

질병청은 “현재까지 피해조사반 검토 결과 최근 신고가 증가된 사망사례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며 “지속적으로 추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질병청은 “인플루엔자 유행 수준은 예년보다 낮고 유행 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마시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아 달라”고 당부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