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디지털성범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성범죄 대응감시단과 함께 피해자 보호를 위한 피해 상담, 디지털 기록 삭제 지원, 유포 모니터링 등을 전담하는 조직을 구성·가동했다.
경기도는 지난 26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내에 디지털성범죄 피해 지원과 관련한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고 28일 밝혔다.
전담조직은 초기상담 및 삭제 지원, 유포 모니터링 등을 실시한다.
수사·법률·전문상담·긴급생활지원 등 관련 기관 및 자원과 피해자를 연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는 전담조직을 내년 초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인력을 확대하고 보다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춰 효과적으로 피해자를 지원하고 추가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성범죄 근절을 위한 12명의 도민으로구성된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대응감시단’도 전날 발족했다.
이들 대응감시단은 소정의 역량강화 교육을 이수한 후 포털·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의 디지털성범죄 모니터링 활동에 착수한다.
이밖에도 도는 지난 9월부터 각종 영상미디어를 통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책을 홍보하는 한편 디지털성범죄 근절 사이버 교육 콘텐츠를 제작해 11월부터 경기도 공직자와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디지털성범죄 예방 및 근절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디지털성범죄 피해 신고는 카카오채널(031cut) 및 이메일(031cut@gfwri.kr)로 연중 상시 가능하다.
전화상담(031-220-3970) 및 방문상담 접수는 평일 9시부터 18시까지다.
도는 디지털성범죄 근절 방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확보된 물증에 따르면 한 채팅방에서는 수간·수인물과 같이 비인격적인 콘텐츠와 아동 또는 교복 차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까지 짧은 기간 사이 740여 건의 음란물 및 불법 성착취물이 공공연하게 유포되고 있었다며 범죄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지고 일상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해당 사례를 비롯해 지금까지 수집된 각종 증거들의 위법 소지가 높다고 판단, 지체 없이 수사 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순늠 도 여성가족국장은 “경기도는 성착취물의 확산을 차단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며 분별없이 자행되는 범죄행위를 위축시키는 데에 주어진 자원을 모두 동원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며 “디지털성범죄의 피해를 입거나 해당 범죄행위를 목격하게 될 경우 반드시 신고하고, 주변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공적 체계가 열려 있음을 피해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당부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