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목관리원 소속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백두대간 생물조사를 통해 지의류(地衣類) 신종(新種) 1종을 발굴했다고 28일 밝혔다.
지의류는 지의류형성곰팡이와 조류(藻類)가 한 몸이 되어 살아가는 공생체로 약 4억년 전(고생대 데본기)부터 지구상에 살아온 신비로운 생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 약 2만종, 우리나라에는 약 1100종이 있다는 보고서가 있다.
해당 신종은 분류학으로 접시지의류(레카노라속 지의류) 그룹에 속한다.
근연종(近緣種)들에 비교 형태적으로 지의체가 훨씬 어두우며 생식기관(자낭반) 안에 기름방울(oil droplets)이 산재하는 특징이 있다.
접시지의류는 접시모양 생식기관이 있는 대표 지의류로 한반도에 50여종이 분포하고 다양한 수목과 바위에 착생해 자란다.
수목원은 새로 확인한 지의류가 아트라노린(atranorin), 제오린(zeorin) 등을 함유해 항암, 항산화, 항균 등 약리 측면에서 활용 가치도 뛰어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백두대간수목원 이병권 박사는 국제학술지에 이번에 발견한 지의류 신종을 보고했다.
이 박사는 또 백두대간 내 신갈나무에서 확인한 접시지의류인 점을 감안해 학명을 ‘레카노라 백두대가넨시스’(Lecanora baekdudaeganensis Lee & Hur)로 명명했다.
수목원은 남북한에 자생하는 접시지의류 총 52종에 분류키도 마련했다.
접시지의류는 소형지의류(microlichens)를 대표하는 종류로서 지의류 가운데 가장 큰 속(屬) 가운데 하나이다.
아직 국내 정식 분류키가 없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분류학적으로 의의가 매우 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양종철 백두대간수목원 산림생물자원보전실장은 “앞으로 백두대간 생물자원 조사 등에 더욱 심혈을 기울이고 국내 특산생물자원 보호와 서식처 보전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봉화=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