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 자산을 관리하는 하나은행이 2018년부터 환매 중단 사태를 막기 위해 ‘장부 처리’를 해준 정황이 포착돼 검찰이 수사 중이다. 이 내용은 금융감독원이 지난 7월 검찰에 수사의뢰를 한 사안인 것으로 드러났다. 하나은행은 “실제 자금 이동이 없었고 일일 마감업무 과정이었다”는 입장을 냈다.
27일 법조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부장검사 주민철)는 하나은행이 ‘펀드 돌려막기’에 동참, 옵티머스의 부실을 감춰줬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다. 검찰은 애초 하나은행 수탁영업부의 A팀장이 옵티머스 사태에서 전체적인 공모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벌여 왔다. 검찰은 기소된 옵티머스 경영진으로부터 “하나은행이 다른 자산운용사 자금을 끌어와 옵티머스 펀드 상환 자금으로 사용, 시간을 벌었다”는 취지의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하나은행 수탁영업부 직원들을 참고인으로 소환하며 이 은행이 과연 ‘돌려막기’ 책임에서 자유로운지 따져 왔다. 사건 재배당 직후인 지난달에는 A팀장을 피의자로 보고 은행 수탁영업부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하나은행이 옵티머스 측의 요구에 따라 잔액 숫자를 맞춰준 행위가 2018년 8월쯤 시작됐다고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옵티머스 사태가 표면화하기 약 2년 전부터 부실 정황이 노출됐다는 뜻이기도 하다.
수탁은행의 투자자 보호 역할이 미흡했다는 책임론은 점점 커지고 있다. 피의자 신분인 A팀장의 경우 환매 연기가 선언되기 전날 서울 강남구의 옵티머스 사무실에서 김재현(50·수감 중) 대표를 따로 면담한 일이 알려졌다. 검찰은 옵티머스의 수탁 계약이 기업은행에서 하나은행으로 바뀌는 과정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기업은행은 옵티머스 측에 문제제기를 했다가 계약이 끊어졌다”는 말이 나온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하나은행의 이러한 ‘돌려막기’ 동참 정황에 대해 “지난 7월 검찰에 참고사항으로 넘겼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은 “전체 미운용 자금 수치를 조정한 것에 불과하다”며 “실제 자금의 이동은 없었다”는 입장을 냈다.
이경원 구승은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