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전남도와 통합 협상에 앞서 5개 자치구 간 경계조정을 서두르고 있다. 2년여 만에 준비기획단을 재가동해 논의를 본격화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 등으로 구성된 ‘자치구 경계조정 준비기획단’은 27일 오후 상무지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회의를 열고 자치구 간 경계조정을 마무리하기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지난 2018년 11월 이후 2년여 만에 재소집을 통해 개최한 준비기획단 회의는 지난 5일 이용섭 광주시장이 자치구 간 논의를 재개하고 연말 안에 확실한 매듭을 짓겠다고 공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시와 자치구가 참여한 준비기획단은 이날 회의에서 그동안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기존 대·중·소폭 3개 경계조정안을 토대로 한 구체적 개편안 마련에 들어갔다.
시가 2017년 정당과 시민사회단체 등 39명으로 출범시킨 준비기획단은 이듬해 ‘광주광역시 균형발전을 위한 자치구 간 경계조정 연구용역’을 통해 3개 경계조정 안을 제시한 바 있다.
한국조직학회와 경인 행정학회 등 전문기관에 의뢰한 경계조정 방안 중 북구 문화동 풍향동 두암1~3동 석곡동 등 6개 동을 동구로 넘겨주고 광산구 첨단1~2동을 북구로 편입시키는 중폭 개편안은 시민 선호도 조사에서 39.8%의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자치구와 선거구 조정 등 이해관계에 얽힌 정치권 인사들의 강한 반대로 그동안 구체적 논의가 중단돼왔다.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져 균형발전을 가로막는다는 비난이 쏟아졌지만, 경계조정은 슬그머니 꼬리를 감췄다.
준비기획단은 2년여 만에 재개된 이날 회의에서 기존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들의 다양한 여론을 다시 수렴해 최종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 시장은 시·도 행정구역 통합과 더불어 5개 자치구 간 경계조정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자치구 간 인구 편차 조정을 통한 균형발전과 기형적 선거구의 정상화를 위해 경계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 광주 동구는 최근 인구 10만 명을 어렵사리 회복했지만, 여전히 북구 43만2700명, 광산구 40만7000명의 4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이에 따라 이 시장은 지난 3일 광주지역 21대 국회의원 8명과 만나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경계조정에 대한 공감대를 먼저 확인하고 재추진에 나섰다. 광주시의회 의장단, 5개 구청장과도 잇단 간담회를 하고 경계조정 총론에 대한 동의를 끌어냈다.
이 시장은 연말 안에 경계조정 실행 방안을 확정하든 전면 백지화하든 확실한 방침을 정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19대 총선을 앞둔 2011년 자치구 간 경계조정을 마지막으로 성사시킨 적이 있다. 당시 북구 두암3동·풍향동·중흥1동·우산동 일부가 서구로, 북구 동림동·운암1동 일부가 서구로 편입됐다.
또 동구 산수1·2동은 북구로, 남구 방림동 일부는 동구로 경계조정이 이뤄졌다. 이밖에 북구와 서구 2개 구에 걸쳐 있던 무등경기장은 북구, 남구와 서구로 걸쳐 있던 송원학원은 남구로 편입·조정됐다.
하지만 이후에도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의 재개발과 구도심 공동화로 자치구 간 인구 편차가 심화해 추가 경계조정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시는 자치구 간 경계조정과 별도로 지역 최대현안으로 떠오른 시·도 통합논의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준비기획단 관계자는 ”생활권이 일치하는 행정구역 위주로 인구 편차를 반영해 경계조정을 하자는데 의견이 모였다”며 ”연말 안에 최종 방안을 합의하고 내년 중 지역주민 동의절차를 거쳐 행정안전부 신청 절차를 진행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