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국회 연설 日스가, 북한 제일 먼저 언급… 한국은 맨 끝에

입력 2020-10-26 17:34 수정 2020-10-26 18:00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한·일 관계를 포함한 외교 정책 전반과 관련해 사실상 아베 신조 전 총리 시절의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일 관계를 가로막는 최대 걸림돌이 된 강제징용 문제는 일본이 아니라 한국 측이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스가 총리는 26일 첫 국회 연설에서 “한국은 매우 중요한 이웃나라”라면서도 “건전한 일·한 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가 총리는 강제징용 문제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다만 전반적인 맥락을 미뤄볼 때, 한국 법원의 일본 전범기업 자산 매각 절차 중단 등 한국 정부 차원의 전향적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스가 총리는 외교 정책에서 한·일 관계를 크게 중시하지 않겠다는 뜻도 암시했다. 스가 총리는 외교·안보 분야를 연설하면서 한국을 맨 마지막에 언급했다. 그는 한국을 ‘매우 중요한 이웃나라’로 표현했지만 이는 지난 1월 아베 전 총리가 밝힌 ‘기본적 가치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보다는 격이 떨어진다.

스가 총리는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나겠다는 아베 전 총리 시절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스가 총리는 “납치 문제는 여전히 정권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모든 납북자가 하루라도 빨리 귀국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 저 자신도 조건 없이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마주할 각오가 돼 있다”고 말했다.

스가 총리는 “일·조(북·일) 평양선언에 따라 납치, 핵·미사일 등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불행한 과거를 청산함으로써 북조선(북한)과 관계 정상화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