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가 우리의 몸속 폐 조직인 폐포(허파꽈리)에 침입해 세포를 감염시키는 데 단 6시간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팀은 인간의 폐포 세포를 3D 미니 장기기술로 개발한 뒤 코로나바이러스를 주입해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과정을 이해하려면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체 모사 모델이 필요하지만 폐 조직 모델은 없고, 생쥐 모델에서는 감염이 이뤄지지 않아 그동안의 연구는 한계에 부딪혀왔다. 그러나 연구팀은 사람의 폐포 줄기세포를 실험실에서 6개월 이상 배양해 3차원 인체 폐 배양 모델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어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한 뒤 폐 세포의 기능적 변화를 면역 형광염색, 전사체 분석 등을 통해 확인했다. 그 결과 3D 폐포가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된 지 6시간이 채 되지 않아 급속한 바이러스 증식이 일어났고 세포 감염이 끝나버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폐 세포가 선천적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는 데는 사흘가량의 시간이 걸렸다. 또 바이러스 돌연변이 추적을 통해 하나의 폐 세포를 감염시키는 데는 한 개의 바이러스 입자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는 이주현 영국 케임브리지대 박사, 최병선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 과장, 고규영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 김영태 서울대병원 교수, KAIST 교원창업기업 지놈인사이트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지난 22일 국제 학술지 ‘셀 스템 셀’(Cell Stem Cell) 온라인판에 실렸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